
농기계 업체와 정부가 농업기계화의 일환으로 농기계 보급에 중점을 가한 결과 농업 기계화는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그러나 성급한 보급에 치중한 결과 쏟아지는 중고농기계 처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지는 중고농기계의 재고 현황과 문제점, 향후대책에 대해 알아본다. 〈편집자 주〉
전국의 농기계대리점들이 중고농기계 처리문제로 심한 몸살을 앓고 있다.
농기계대리점들이 보유하고 있는 중고농기계가 전체 농기계시장의 15%에 달하는 1500억원어치로 추정되고 있어 중고농기계를 보유할 수 있는 한계를 이미 넘어서고 있기 때문이다.
대리점들이 보유하고 있는 중고농기계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기종은 트랙터로 879억7000만원 규모이며 그 다음으로 콤바인이 431억9000만원, 승용이앙기 75억3300만원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같이 전국의 농기계대리점들이 보유하고 있는 중고농기계가 포화상태에 이르고 있는 것은 신규농기계를 판매하기 위해 농가의 중고농기계를 시가로 쳐서 구매해 주고 있기 때문으로 이같은 판매방식이 전체 판매량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따라 현재 대리점들은 평균 트랙터 10대, 콤바인 4대 이상씩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대리점들이 중고농기계의 판로 등 처리방안을 마련해 놓고 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신규농기계를 팔기위해 무리한 중고농기계 인수를 추진했다는 것이다. 결국 팔리지도 않는 중고농기계는 대리점들의 적자요인으로 작용, 연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더욱이 대리점간의 신규농기계 판매경쟁이 과열양상으로 치달아 중고농기계를 실제가격보다 비싸게 쳐줌에 따라 중고농기계 판매가격의 동반상승을 초래해 농가가 중고구매를 기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고농기계를 구입하고자해도 융자지원 절차가 까다롭고 기존에 농기계를 사용했던 주인이 융자금액을 갚지 못한 농기계를 중고로 구입할 경우 경우 중고의 융자금 처리까지 해결해야 하는 부담 등도 중고 구입을 기피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기계 재고분량의 58%를 차지하는 트랙터는 미미하게 나마 거래가 이루어지기도 했었으나 부품공급과 원활한 사후관리를 받을 수 없어 지금은 고철덩어리로 전락한 실정이다.
콤바인의 사정은 더욱 심각하다. 중고콤바인이 전체 중고농기계시장의 28%를 차지하고 있는데다가 최근 콤바인 신모델로 산물형이 개발, 보급됨에 따라 기존에 널리 보급된 포대형이 고스란히 중고로 남고 있기 때문이다. 더이상 포대형을 찾는 농가들도 없는 실정이다.
여기다가 농기계 생산업체들이 중고농기계 판매가 증가될 경우 신규농기계 판매량이 급감할 것을 우려해 신규농기계판매에 보다 주력할 것으로 전망돼 중고농기계의 제고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판단된다.
농기계업계는 이에따라 우선 시장규모에 맞는 생산체제를 구축을 통해 밀어내기식 판매방식을 지양해야 하고 농가들이 믿고 찾을 수 있는 중고농기계 공급체제를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아울러 이미 포화상태에 있는 국내시장보다는 해외시장을 구축, 중고농기계를 처리하는 방안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