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동아시아 지역 구제역 국제 심포지엄
국경을 가리지 않고 전파되는 구제역 등 재난형 가축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해 동아시아를 비롯한 아시아 각 지역의 구제역 대응 프로그램간 협업 강화 필요성이 집중 논의됐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주최한 ‘동아시아 지역 구제역 국제 심포지엄’이 지난 18~20일 서울 양재동 소재 The-K호텔서울과 농림축산검역본부 안양 본원에서 한·중·일 3국을 비롯해 대만과 몽골 방역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지난 18일 The-K호텔서울에서 열린 심포지엄에는 히로후미 쿠지타 세계동물보건기구(OIE) 아시아태평양지역 대표와 동남아시아 지역본부의 필립 와이더스 박사가 내한해 아시아 지역 구제역 통제에 대한 국제 공조 필요성을 강조했다.
쿠지타 OIE 아태지역 대표는 “내년부터 5단계에 접어드는 동아시아 구제역 관리 로드맵에 따라 아시아 각 지역의 구제역 대응 프로그램 간 협업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와이더스 박사는 “최근 연구에서 중국이 상대적으로 육류가격이 높아지면서 우제류 사육이 많은 미얀마로부터 수백만 마리의 우제류가 국경을 넘어 불법적으로 유통되는 등 구제역 전파가 동아시아로 확산되고 있다”면서 백신 접종 관리와 더불어 국가간 우제류 이동을 관리하기 위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어 박봉균 서울대 교수를 좌장으로 심포지엄 참가 5개국 대표자의 각국 구제역 발생현황 및 대책 소개가 이어졌다. 발표에 따르면 구제역 청정국인 일본을 제외한 4개국이 모두 최근까지 구제역 발생이 이어지고 있고 한국과 대만, 몽골의 경우 보고된 구제역 발생 대부분이 O형 혈청형, 중국은 올해 보고된 구제역 3건 모두 A형 혈청형을 각각 나타냈다.
구제역 대응방식에 관해선 우리나라와 대만의 경우 구제역 백신을 상시적으로 접종하면서, NSP 항체를 모니터링 도구로 활용하고 있고 특히 대만은 매년 전체 양돈농장의 17%, 기타 우제류 농장의 10%에서 혈청샘플을 채취, 중화항체가 검사를 통해 백신효능을 점검하는 점이 주목됐다.
일본은 청정국 지위 유지를 위해 국경검역과 지역 수의사 2000여명을 기반으로 한 농장 예찰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소개됐다.
몽골은 국경지역에 집중된 구제역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앞으로 러시아, 카자흐스탄, 중국 등 인접국가와 국제협력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천일 농식품부 축산정책국장은 “국내 축산업 및 관련 산업에 엄청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는 구제역은 이제 국경 없는 재난형 동물전염병으로 개별국가가 단독으로 대응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면서 “동아시아 국가들의 방역경험을 공유해 구제역 방역대책을 추가적으로 보완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동아시아 지역 구제역 국제 심포지엄은 2011년부터 한·중·일 3개국이 돌아가며 개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