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동물약품 산업 중장기 발전대책(안)을 이달까지 마련키로 한 가운데 동약업체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고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각종 법과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 16일 서울 용산구 서울역 KTX 4층 회의실에서 열린 국민축산포럼 8차 회의에서 참석 위원들은 업계의 요구사항과 정부 지원 방안을 면밀히 따져 동약산업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요구했다.
최윤재 서울대 교수는 “동물약품 산업 중장기 발전대책은 실제로 동약업체들이 참여해 동약분야 의견을 충분히 반영해야 한다”면서 “수출과 관련해 중국시장의 벽이 높은 만큼 TF팀을 만들어 전략적으로 심도 있게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정환 GS&J 이사장은 “동약의 특색을 반영하되 산업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 법과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며 “정보 수집 등과 관련해 연구기관, 제약업체 등이 협력 연구를 추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용호 서울대 교수는 “결국 업체의 애로점이 큰 만큼 중국 진출을 위한 정부의 역할이 필요하다”며 “수출입에 있어 백신과 일반 의약품을 구분해 전문성을 갖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날 국민축산포럼 8차 회의에선 △동물용의약품산업 중장기 발전대책(안) △사료산업 현황 및 발전방향 △국내 종축개량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주제발표를 놓고 토론을 벌였다.
본격적인 토론에 앞서 홍기성 농림축산식품부 방역관리과 사무관은 최종 마무리를 단계에 돌입한 ‘동물약품 산업 중장기 발전대책(안)’에 대한 발표를 통해 “오는 2020년까지 국내 생산 1조원 달성(내수 4900억원·수출 5700억원)을 목표로 동물용 의약품 등 관리 제도를 선진화 하겠다”고 밝혔다.
홍순찬 한국사료협회 이사는 ‘사료산업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발표에서 “사료가격 안정을 위한 정책(금융?세제)지원 강화와 함께 사료산업의 저비용·고효율 구조전환을 모색하고 수출확대 등 새로운 성장 동력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홍 이사는 특히 “사료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R&D투자 확대 등 사료산업의 부가가치(안전, 친환경, 기능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병호 축산과학원 연구관은 ‘국내 종축개량 현황 및 발전방향’에 대한 발표를 통해 “국민 식품의 다양화 및 농가 소득원 다양화 차원에서 축종 개량이 필요하다”며 “특히 가축 개량 인력 양성을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 기자명 홍정민 기자
- 입력 2016.03.22 17:35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