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에서 14억을 들여 개발해 만든 농업 제초로봇의 생산 실적이 전무한 것으로 드러나 연구개발비 낭비 지적을 받고 있다.

농촌진흥청이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 천안을)에게 제출한 ‘농업로봇 개발 현황’ 자료에 따르면 농업 제초 로봇 개발 연구 1건당 평균 4억6000여만원이 투입됐다. 농진청은 5개 업체에 총 65대의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고 기술이전비는 2000만원을 받아 1대당 평균 30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14억을 들여 2000만원 회수에 그친 셈이다. 또한 기술이전을 시작한 2011년 이후 현재까지 단 1건의 양산 실적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박 의원은 “농진청은 사후 관리에서도 특허기술의 해외유출과 타 분야에서 특허기술을 사용해도 적발키 어려워 18억의 연구개발 사업이 공중에 흩뿌려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지난해 7월 농촌진흥청의 제초 로봇 시연회 당시 제초 로봇은 기동 10분 만에 고장나 3시간의 수리 이후 다시 기동됐지만 잡초가 아닌 논밭의 모를 제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완주 의원은 “농업기술개발 사업의 집행과 사후관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