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산하 시험연구소의 조직개편을 둘러싼 내분이 여성농업계, 학계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이같은 문제는 농진청이 본청에 농업생명공학연구원을 신설하고, 산하 작물연구소에 생명공학과를 각각 두기로 했으나 행정자치부가 기구확대에 난색을 표명한데서 비롯됐다.
생명공학기관을 신설하면서 기존 조직을 그대로 유지한다는게 농진청의 기본 방침이지만 불가피할 경우 성격이 비슷하거나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떨어지는 조직을 중심으로 축소 또는 통합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농진청 관계자는 “생명공학연구원 신설과 관련, 농진청의 기존 조직을 살리는 것을 원칙으로 행자부와 협상을 벌이고 있으나 `과''를 늘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이같은 분위기를 전했다. 각 시험연구소들은 이에따라 자칫 희생될 수도 있는 부서가 나올 수 있다는 현실에 사뭇 긴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폐지가 거론된 농촌생활연구소는 여성농업계가 동원돼 유일한 농촌여성기관임을 주장, 기관존속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있어 농진청의 조직개편문제가 기관밖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
원예연구소의 경우도 시설재배과가 조직개편대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지자 관련 대학교수들까지 가세해 교수집단간의 실력대결로까지 비쳐지고 있다.
전국의 시설재배관련 교수들은 “경지면적이 좁고 인구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차세대 농업형태는 기술집약형 시설원예임에 틀림없다”며 시설재배과의 존속을 강력히 촉구하고 외부 용역 또는 객관적인 토의 결과에 따라 존폐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직개편 대상 연구소의 관계자는 “어차피 중앙에 생명공학연구원을 신설한다는 방침이 세워진 만큼 중앙에서 원천기술을 연구하고 각 작물연구소에서 실용기술을 맡으면 되지 않느냐”며 “산하 연구소 부서간 내분을 일으키면서까지 생명공학과를 신설할 필요가 있느냐”는 의문을 제기했다.
이렇듯 농업생명공학연구원 및 생명공학과 신설은 부서간의 위화감조성에다가 관련학계 및 여성농업계 등의 반발까지 겹쳐 다음달 행정자치부의 심의를 거친뒤 농진청 조직개편이 확정된후에도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조직개편과 관련, 농진청의 한 관계자는 “농진청이 농업생명공학의 중요성을 인정, 생명공학연구를 강화한다는 방침은 있으나 아직까지 조직개편과 관련해 어떠한 결정도 내려진게 없다”고 밝힌뒤 “결정을 할 경우 객관성있는 기준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