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수산업계에서는 극심한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선원통계연보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국내 연근해어선원은 총 1만4692명으로 직급별로는 항해사 2368명, 기관사 2205명, 통신사 22명, 부원 1만97명 등이다.
연령별로는 25세 미만의 선원은 47명, 25~29세 49명, 30~39세 947명, 40~49세 2209명, 50~59세 6067명, 60세 이상이 5373명으로 나타나는 등 전반적으로 고령화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같은 고령화는 선원에만 그치지 않는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수산업 종사자는 67만1840명으로 이중 50대가 24만4605명이고 60대가 22만6654명으로 전체 수산업 종사자의 3분의 2 이상이 50대 이상이었다.
수산업계의 고령화로 가장 먼저 불거지는 것이 인력 채용문제와 안전사고의 급증, 취약한 전문 인력풀 문제 등이다.
신규 진입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연근해어선에는 고령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고, 이는 안전사고의 증가로 이어진다.
실제로 노동여건이 비교적 양호한 대형선망어선도 전체 선원의 평균연령이 56세에 이르고 있으며 최고령 선원은 80세다.
선상근무의 특성상 작업시 높은 주의력과 반사신경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선원의 연령이 높아지면서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 대형선망업계의 전언이다.
더불어 도서지역을 중심으로 어촌의 공동화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 되고 있다.
실제로 어촌사회의 가장 기초적인 공동체인 어촌계가 고령화의 영향으로 약화되고 있으며 일부 유인도서지역은 서서히 무인도서 수준으로 변하고 있어 도서 관리에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이 급격히 증가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또한 어가인구의 고령화와 지속적인 감소로 정부에서는 지구별 수협의 최소 조합원 규정을 완화키도 했다.
고령화와 어가인구 감소에 대한 대안으로 정부에서 귀어·귀촌 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녹록지 않다.
정부의 정책이 어촌을 중심으로 수립된 것이 아니라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인력유입에 초점을 두다보니 정주여건 개선 등에 있어 한계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 수산청에서 일본의 어촌정책을 인구정책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것과도 대조된다.
이창수 수협 수산경제연구원 박사는 “어촌은 도시지역보다 고령화가 훨씬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도서지역은 향후 20~30년이면 적지 않은 수가 무인도서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이 ‘수산업’에 포커스를 맞추기보다 ‘어촌’과 ‘사람’에 초점을 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