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태 농림부장관은 지난 16일 대전 산림청을 방문, 신순우 산림청장으로부터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받았다.
산림청은 이날 업무보고를 통해 올해 숲가꾸기사업은 공공근로사업을 점차 축소시키고 전문 임업기능인에 의한 기술적 육림사업을 대폭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공근로사업은 지난해 7만9000ha에서 올해 4만5000ha로 줄어든 반면 기술적 육림사업은 지난해 4만9000ha에서 올해 10만1000ha로 늘어났다.

산림청은 또 자연친화적 산지관리를 위해 사업이 중단되거나 방치된 전용산지를 응급복구하기 위한 재해방지명령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며, 국유림대부지에 대한 관리실태를 조사해 목적외로 사용하거나 부실한 대부지의 경우 과감히 정리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산불의 사전예방과 초동진화체계 구축을 위해 경비행기 1대를 추가로 투입해 공중감시능력을 높이고, 무인감시카메라 설치소를 48개소에서 61개로 늘린다.

또 정책자금 융자지원 업무를 산림조합으로 일원화하고 대리경영사업을 지난해 16만1000ha에서 20만1000ha로 대폭 늘린다.
산림재해보험제도 도입을 위한 준비작업도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밤, 표고, 더덕 등 단기소득작목을 확대하기 위해 복합경영사업을 지난해 43개소에서 68개소로 늘릴 방침이다.

이밖에 올해 `세계 산의 해''를 맞아 산림헌장을 제정·공포하는 한편 산촌을 산림경영과 녹색관광(그린투어리즘)의 거점지역으로 집중 육성키로 했다.
이와 관련 산촌개발사업을 자연휴양림 조성사업, 농촌 그린투어리즘사업과 연계해 시너지효과를 낳는다는 계획이며, 아름다운 산촌 콘테스트, 생태산촌 모델 설계 공모대회 등 부대 사업도 벌일 계획이다.

김장관은 이에 대해 “산은 보존해야 할 자원이기도 하지만 개발도 적극적으로 실시돼야 하는 등 산의 가치를 재평가해야 할 시점이 됐다”며 “산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을 밑거름으로 민간의 자본을 산촌으로 끌어올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장관은 또 “대형 산불로 어려움을 겪었던만큼 산불에 대한 철저한 원인분석과 초등진화체제 구축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며 “최근 일어나고 있는 해외산불사례에 대한 연구를 실시, 그 발생원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