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육묘 농가, 기술·비용적 부분 한계
관행육묘와 혼입…소비자 신뢰회복 숙제

아이쿱생협이 전남 구례, 충남 괴산에서 각각 1320㎡(400평), 6600㎡(2000평)규모의 친환경 전용 공동생산시설을 갖추고 친환경 육묘 생산에 본격 나섰다.

아이쿱생협 육묘장은 친환경 육묘만을 키우고 관리해 관행 육묘에 의한 농약의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고 있으며, 실제 친환경 재배기준을 준수했는지 전문인증기관이 직접 현장 실사를 진행한다.

주기적인 점검을 통해 △친환경 자재 사용여부 △유기 허용 상토 사용여부 △농약 및 화학비료 사용여부 △주변으로부터 농약 비산 및 오염 가능여부를 확인한다.

아이쿱생협 관계자는 “실제로 한 공간에서 관행육묘와 친환경육묘가 함께 자라는 등 육묘장에 대한 관리가 부실하지만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이를 모른다”며 “지난해 살충제 계란 사태 이후 친환경 농업, 식품업계에도 소비자 신뢰회복이 숙제로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아이쿱생협의 친환경 육묘 생산 진출은 친환경농산물 인증 농가가 마땅한 육묘장을 찾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친환경이라는 말에 육묘를 맡겼는데 농약이 검출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기 때문이다.

아이쿱생협에 따르면 친환경농산물 인증 농가들은 직접 육묘를 키우는 자가육묘를 선택했지만 설비나 기술, 비용적인 부분에서 한계를 느끼고 있다.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는 ‘친환경인증은 육묘부터 관리돼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6년 국내 친환경농산물 인증 농가는 총 6만1900호, 시장규모는 1조4665억원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육묘시장의 규모는 2013년 기준 2420억원이다.

이 같은 시장규모에도 육묘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리나 검사제도는 미흡하다는 게 관련업계 지적이다.

현재 국내 친환경 육묘장에서는 친환경 육묘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를 현장검사가 아닌 육묘일지로 점검을 대체하고 있다. 일지 확인서를 제출하면 친환경육묘로 인정하는 것이다.

아이쿱생협 관계자는 “친환경인증마크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잔류농약을 직접 검사하는 것은 최종농산물뿐”이라며 “서류만으로 확인절차가 이뤄져 일반 육묘장에서 키운 작물이 혼입돼 친환경 인증을 받은 육묘로 둔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