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질비료 출하량 줄고 국제원자재 가격 올라 ‘이중고’
대기오염방지시설 설치 의무…제조 현장 애로 반영해야

[농수축산신문=서정학 기자]

비료업계를 둘러싼 국내외 시장 및 제도가 변화하고 있다. 국제원자재 가격은 상승하고 있으며 국내에선 유기질비료 제조시설의 암모니아 배출기준 강화 등을 골자로 한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일부 개정안이 최근 입법예고됐다.

이 같은 상황에서 국내 무기질비료업계는 요소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유기질비료업계는 환경부에 대기환경보전법 개정안에 유기질비료 제조 현장의 애로를 반영해 줄 것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하반기 비료업계의 주요 이슈를 짚어봤다.

▲ 퇴비의 부숙을 진행하는 시설 내부

# 출하량↓·수입 원자재 값↑…무기질비료업계 이중고

무기질비료업계는 이번 여름 장기간 이어진 폭염으로 인해 무기질비료 출하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국제원자재 가격까지 상승해 이중고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비료협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무기질비료 출하량은 79만8000톤으로 집계됐으며 이는 지난해 동월 93만4000톤 대비 14.6% 감소한 수치다. 출하량 감소는 폭염으로 인한 농작물 작황 부진, 2모작 시비 지연 등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여기에 올해 국제원자재 가격이 지난해에 이어 계속 상승세를 이어가 업계의 고충이 더해지고 있다.

비료협회 조사결과 국제원자재 중 카타르산 요소 가격은 올해 10월 기준 톤당 36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대비 47%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 가격은 올해 7월 기준 톤당 평균 332달러, 인이안(DAP) 가격은 올해 평균 414달러로 각각 지난해 같은 기간 평균 316달러, 355달러 대비 5%, 15%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규용 비료협회 이사는 “국내 무기질비료업계가 대부분의 요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인한 타격이 크다”며 “폭염으로 인한 상반기 공급량 감소와 하반기 수입원자재 값 상승으로 인해 업계는 경영수지가 악화되고 요소의 국내 조달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 대기환경보전법 강화 예고…유기질비료업계 현장 애로 반영 요구

환경부는 최근 유기질비료 제조시설을 무기질비료 제조시설과 같은 분류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로 포함시켜 관리, 암모니아 배출기준을 현행 50ppm에서 12ppm으로 강화한다는 내용의 대기환경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이에 한국유기질비료산업협동조합 및 업계는 협의를 통해 암모니아 배출기준을 30ppm으로 올리긴 했지만 여전히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의무 설치 등에 애로사항이 남아있단 점을 성토하는 상황이다.

올해 말 개정안이 확정될 시 2020년 1월1일부터 모든 유기질비료 제조시설 내 부숙시설에는 대기오염방지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하고 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의 운영결과를 기록, 보관해야 한다.

이에 대해 유기질비료업계 관계자는 “무기질비료업체에 비해 대부분의 유기질비료업체 규모가 영세하고 퇴비 부숙 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의 양도 다르다”며 “그런데도 환경부는 무기질비료 제조시설에 적용하는 대기오염물질배출 허용기준 등을 유기질비료 제조시설에도 똑같이 적용하려고 한다”고 성토했다.

이어서 그는 “대기오염방지시설의 예상 설치비도 3억~5억원에 이르는 데 이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유기질비료 제조업체가 과연 얼마나 될지 의문이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