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버섯 생산, 연중 생산체계 갖춰야”

[농수축산신문=하은숙 기자] 

“버섯재배 과학화가 이뤄지고 있지만 개선점은 여전히 많다고 봅니다. 지속가능한 버섯농사를 위해서는 영농체계를 연중 생산 체계로 바꿔줘야 하고 유통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합니다.

또한 농가의 작부체계 개선을 위한 시설확대에는 자치단체나 정부차원의 자금지원이 있어야 될 것 같아요. 현재와 같은 영세구조 하에서 시설확대를 권유한다면 농가는 힘에 부쳐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생산·유통의 악순환을 거듭할 것으로 봅니다.”

정의용 청흥버섯영농조합 대표가 압축·정리하는 한국 버섯산업의 나갈 길이다.

그는 “대규모 버섯농가만 남기고 중소 복합버섯농가를 구조조정할 것이 아니라면 당연히 소농가 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며 “이것이 지역농업을 다루는 거버넌스 실제화”라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표고톱밥재배자단체 회장답게 버섯배지 문제를 지적했다. 한마디로 중국산 배지를 배격하고 국내산 배지 활용도를 높여야 버섯농사의 장래가 있지 현재와 같이 우선 편하자고 중국산 배지를 사용해서는 장래가 없다고 일축했다.

그의 주장은 중국산 보습배지는 2중 비닐 코팅으로 수분증발을 막고 비용이 싸게 먹힌다는 점에서 선호되지만 폐배지의 극심한 환경파괴 문제가 발생한다는 거다. 그에 비해서 국내산 배지는 폐배지의 유기농 재활용이 가능하다는 것.

모든 산업과 생활에서 쓰레기, 공해, 환경파괴 등과 싸우는 자연보전의 시대가 올 것 이라는 이유다. 적어도 농업만큼은 환경을 살리는 쪽으로 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중국산 배지의 수입을 막는다면 국내산 배지 사용이 20%는 증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중국산 생표고 수입문제도 지적했다

그는 “한국산 생표고 수출길은 막아놓고 중국산 생표고 수입은 가능하게 돼 있는 현행 무역체계는 불공정 그 자체”라며 “이런 것을 풀어주는 것이 정부가 할 일 아닙니까. 영세소농과 공존을 위해서는 당연히 다양한 정책과 지원 제도를 만들고 버섯자조금제도도 부활시킬 수 있게 해줘야 한다”고 일갈했다.

현행 시스템을 방관하다가는 결국 버섯무역 역조와 대농중심의 버섯시장이 되고 만다는 것이 정 대표의 강력한 주장이다.

그는 “지역농업 발전과 귀농·귀촌 정책에서 버섯도 중요한 품목농업이라고 볼 때 업종분류를 임업에 국한시켜 지원 폭을 협소하게 하지 말고 농업의 범주로 카테고리를 넓혀 귀농·귀촌인의 정착에 힘을 실어주면 표고를 비롯한 양송이, 기타 버섯 등 버섯농사가 중요한 농업부흥의 통로가 될 수 있다”며 당국의 관심과 지원, 그리고 농가 스스로의 노력을 거듭 강조했다.

정 대표는 1963년 청양 출신으로 공주대 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한국표고톱밥재배자협회장과 한국농수산대학 현장교수를 맡고 있다. 2003년 산림청장 표창을 비롯해 2004년 신지식임업인 국무총리 표창, 2012년 대통령 표창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