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2030년까지
4대 뉴노멀 전략 중점적으로 추진

 

산림청은 지난 22일 산림분야 뉴딜 정책인 케이-포레스트(K-Forest)'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케이-포레스트 추진계획은 산림청이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한 한국판 뉴딜정책을 추진하는 정부 기조에 맞춰 올해부터 2030년까지 추진할 산림분야 뉴딜 정책의 틀을 제시한 것이다. 발표에 따르면 산림청은 숲에서 찾는 새로운 일상이라는 비전 아래 디지털비대면의 산림분야 도입 저성장 시대, 산림산업 활력 촉진 임업인의 소득안전망 구축 기후위기 시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등 4대 뉴노멀(새 일상) 전략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추진계획에 따르면 산림청은 첫째 디지털, 비대면 기술을 산림분야에 도입할 방침이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정밀 산림데이터의 수집·분석·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그 동안 수기로 관리하던 산림자원·경영 데이터를 전산화한다. 국가온실가스 감축실적에 산림경영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등 산림데이터의 활용가치를 높이고, 민간에 개방해 창업과 일자리 창출도 지원한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 산림복지시설을 조성하고 산림치유 장소와 치유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스마트 산림복지-건강관리(헬스케어)’ 기술도 개발한다.

둘째 신시장 개척,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정책 개발로 저성장 시대, 산림산업의 활력을 촉진한다. 친환경 소재와 친환경 먹거리인 목재임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목재친화형 도시를 국토부의 지역 특화 재생사업모델에 포함하고, 학교 급식에 청정임산물을 활용하는 등 친환경시장을 개척한다. 도시숲을 치유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면적 규제를 30ha 이상에서 5ha 이상으로 완화한다. 또한 실업자, 일시휴직자 대상 공공부문 일자리 5000여 개를 긴급 지원하고, 지역 기반의 지속가능한 산림형 사회적 경제 일자리 창출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한다.

셋째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전부 개정하고산림분야 세제개편 논의 등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으로 임업인의 소득안전망을 구축한다.

넷째 기후위기 시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이 일환으로 산림의 탄소 흡수감축 기능을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도시숲을 조성하고, 수종갱신과 숲가꾸기를 적극 실시하며, 이를 통해 얻은 산물은 목제품과 산림바이오매스로 활용한다.

이 같은 케이-포레스트 추진계획이 원활히 추진될 경우 올해부터 2030년까지의 고용유발효과는 연평균 28000명으로 추산된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지난 국제통화기금(IMF) 경제위기 시에도 산림청은 숲가꾸기 사업 등을 통해 공공일자리 창출에 앞장서왔다면서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위기극복을 위해 케이-포레스트 추진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도록 전 직원이 열과 성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