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산불피해지에 대해 ‘산림피해 복구계획’ 발표

 

 

산림청은 지난달 경상북도 안동, 예천과 충청북도 영동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 피해지에 대한 긴급진단과 합동조사 결과를 토대로 산림피해 복구계획을 수립하고 지자체 등과 함께 신속하게 복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산림피해 복구계획수립을 위해 지난달 24일부터 지난 1일까지 지자체, 국립산림과학원, 사방협회 주관으로 1차 현장조사를 실시했고 지난 2~5일은 산림청 주관하에 산불피해 조사·복구 추진단을 구성해 2차 합동조사를 추진했다. 3개 반으로 구성해 각 지역에 실시된 조사는 위성영상 분석, 드론 촬영, 과학원의 산불피해 등급·분류 알고리즘 등과 현장조사를 병행하여 체계적으로 추진했다. 피해면적은 안동 307ha, 예천 112ha, 영동 75ha로서 총 494ha로 집계됐고 산림피해액은 총 498200만 원이었다.

아울러 산림청은 대형 산불피해지에 대하여 시기별로 올해 안에 완료할 응급복구와 연차적으로 추진할 항구복구로 구분해 복구계획을 수립했다. 총 산림복구 소요액은 101200만 원으로 긴급벌채·조림에 748500만 원, 사방댐 등 산림시설에 261700만 원이 소요될 예정이다.

응급복구는 생활권 주변지역의 산불 피해목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벌채와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사방사업으로 올해 안에 추진되며 406000만 원의 복구비로 계획됐다. ‘항구복구604200만 원의 예산으로 내년부터 2024년까지 단계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로 대형 산불 발생 시기가 예년보다 앞당겨져 예방과 대응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국면이라며 이번 복구계획 수립으로 대형산불로 인해 훼손된 산림이 조속히 생태적 기능성을 회복하고 산사태 등 2차 피해가 생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