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림에서 2차림으로 수종 갱신
임업인 경영안정도 함께 검토돼야
[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산림청이 산림분야 탄소중립전략안을 원점에서 재검토한다.
산림청은 지난 1월 발표한 산림분야 탄소중립 전략안에서 2050년까지 30억 그루의 나무를 심어 탄소 3400만 톤을 줄인다는 목표로 △불균형한 산림 영급구조개선 △기후수종 개발·적용 △경제림 중심의 산림경영 △벌기령 조정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목재와 바이오매스의 이용활성화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환경단체 등은 산림청의 탄소중립전략안이 벌목으로 기후위기에 대응하겠다는 것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해왔다.
이에 산림청은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산림분야 탄소중립전략안 중 논란을 빚은 쟁점들에 대해서는 각계각층의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협의체를 통해 원점에서 재논의, 협의체에서 합의된 결론을 수용해 전략을 수정·보완하겠다고 밝혔다.
이미라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이번 협의체 운영이 그동안 추진해 온 산림정책과 산림사업을 국민의 눈높이에서 되짚어 보고 더 나은 발전을 위한 새로운 전환을 모색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협의체에서 해당 쟁점들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공론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박정희 한국산림경영인협회장은 “우리나라는 세계 3대 사유림 국가로 전체 산림의 3분의 2가 사유림인만큼 임업인의 경영안정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며 “더불어 현재 우리 숲을 이루는 수종들은 기후변화에 대응하는데 한계가 있을뿐더러 척박한 땅에서 필요한 1차림을 현재에 맞는 2차림으로 갱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환경단체의 압박으로 척박한 땅에만 어울리는 나무만을 고집하도록 한다면 우리나라는 잡목만 우거진 국가가 될 것이고 기후변화에 취약한 수종만 넘쳐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