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한태 기자]
정점식 의원(국민의힘, 통영‧고성)은 어가인구 현황을 분석, 어가인구가 지속 감소해 지난해에는 10만 명선까지 무너졌다고 밝혔다.
정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지역별 어가인구 현황’ 자료에 따르면 어가인구는 2017년 12만1734명에서 계속 감소해 지난해 9만7954명으로 10만 명선이 붕괴되는 등 어촌의 지속가능성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특히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 간 어가인구는 무려 19.5%인 2만3780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최근 3년 간 어가인구 감소현황을 지역별로 보면 울산지역이 32.3% 감소해 감소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인천 △29.4%, 제주 △25.4%, 경북 △25.7%, 충남 △22.9%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이를 연령별로 보면 15세 미만이 28.9% 감소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어 15세에서 29세까지 △21.8%, 40대 △18.9%, 50대 △15.5%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그 결과 지난해 기준으로 연령대별 어가인구는 60대가 2만9688명(30.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70세 이상 2만2059명(22.5%), 50대 1만9579명(20%) 등의 순으로 나타나 어촌지역의 52.5%가 60대 이상인 고령화가 매우 심각한 상황임을 드러냈다.
반면 귀어인은 2016년 1005명에서 2017년에 991명으로 1000명이 붕괴되면서 하향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정 의원은 “어촌지역은 인구감소뿐만 아니라 초저출산·고령화, 1인 가구 증가가 심화되고 있다”며 “이는 지역소멸 위기로 확산돼 향후 사회문제로 대두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정 의원은 “어업으로의 청년 인구 유입을 위해 가칭 ‘청년어업인 직불제’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며 “과도한 귀어비용과 위험부담, 진입장벽을 줄여주는 정책 마련 등 제도개선에도 앞장 서겠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