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지난 4년간 산성비가 감소해 산림토양의 산성도가 낮아져 건강한 숲 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거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박현)은 지난 11일 제7회 흙의 날을 맞아 우리나라 산림지역의 강우 산도(pH)가 점차 증가해 산림토양 산성화가 개선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강우 pH가 증가하면 수소이온과 산성 물질이 산림토양에 유입되는 것이 억제돼 토양 산성화를 막고 산림 내 동·식물의 건강한 생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게 된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국 산림지역 65개소 고정조사지에서 토양과 강우의 산도,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 농도를 조사했다.

지난해 산림지역의 강우 pH5.80으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평균 강우 pH 5.69보다 증가했으며 수소이온 농도가 5.6 미만인 산성비의 비율은 15%로 나타났다. 특히 조사지역 65개소 중 춘천, 청주 등 32개소는 1년 내내 산성비가 내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질소산화물의 대기 중 농도도 4.1ppb로 지난 3년 평균값 5.0ppb에 비해 1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토양 pH 또한 2020pH 4.73에서 지난해 4.82로 상승해 우리나라 산림토양이 건강한 숲을 유지하고 탄소중립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구남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생태연구과 박사는 우리나라 산림토양이 모암 등의 영향으로 산성화에 취약한 특성이 있어 산림 분야에서 토양 산성화 추이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기-강우-토양으로 이어지는 산성화 개선 효과를 지속해서 모니터링해 건강한 숲을 조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