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림과학회, 심포지엄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기후변화 시대, 상시화·대형화되는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산불예방·관리를 위한 숲가꾸기가 강화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산림과학회는 지난 25일 국립산림과학원 산림과학관 2층 국제회의실에서 ‘대형산불 대응을 위한 숲관리와 생태적인 복원방향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날 김성용 국립산림과학원 산불·산사태연구과 연구사는 ‘기후변화와 산불, 산불예방과 진화’ 발제에서 “기온이 1.5도 상승하면 산불위험지수는 약 8.6% 증가한다”며 “매년 대형산불이 발생하고 산불이 연중화 돼 ‘아까시나무꽃이 피면 산불도 끝난다’는 속설도 깨졌다”고 기후변화에 따른 산불 위험성 증가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연구사는 “산불확산 3요소인 연료, 지형, 기상 중 인간이 유일하게 관여할 수 있는 요소는 연료뿐이다”며 “산불예방과 피해저감이 숲가꾸기의 목적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사는 산불이 빈발하는 영동지역의 숲가꾸기에 대해선 “침엽수림이 많은 영동지역의 경우 나무 사이 간격을 넓혀 활엽수가 활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산불에 비교적 강한 혼효림이 조림되도록 유도해야 한다”면서 “다만 산불에 강한 내화수림이 조성되려면 우리나라 산림의 67%를 차지하는 사유림 산주들의 동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산주들은 송이버섯을 수확하기 위해 소나무 심는 걸 선호하는데 산주들을 설득하기 위해 소득자원 관련 부서가 협업해 소나무를 대체할 소득자원 수종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선 산림청의 지위를 격상해 산불을 비롯한 산림종합부서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문현철 한국산불학회장은 “산림청을 가칭 산림자원휴양부로 격상시켜야 한다”며 그 이유로 △기후위기 시대 가장 생태기반적으로 인류적 아젠다를 다루는 부서라는 점 △효율적인 산림자원 운영이 필요하다는 점 △대형산불 예방·관리는 숲가꾸기, 내화수림대 조성, 임도설치 등 단순히 불을 끄는 것이 아니라 종합적인 산림업무로 다뤄져야 한다는 점 등을 내세웠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