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산림청이 대형화·상시화되는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 장비 강화, 인력 확충, 맞춤형 숲관리 확대 등을 시행한다. 또 지난달에 발생한 강원·경북 산불의 피해지 복구를 위해 오는 6월까지 응급복구를 완료하고 매년 1만8000ha를 복구조림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지난달 3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경북·강원 대형산불 시사점 분석·개선대책’을 발표<사진>했다.
산림청은 최근 강원·경북 산불 진화과정에서 지난해보다 산불이 2배 이상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해 진화헬기 가동률 저하되는 등 진화자원이 부족했다는 점, 전문진화인력의 피로도가 누적된 점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에 산림청은 향후 중장기 개선대책으로 △초대형 산불 개념 도입·대응지침 정비 △초대형 진화헬기, 대형·고성능 산불진화차 도입 등 장비 강화 △산불재난특수진화대 처우개선과 규모확대 등을 제시했다.
아울러 산불관리 차원의 숲관리를 위해 산불예방 숲가꾸기를 기존 연간 8000ha에서 연간 1만5000ha로 확대하고 내화수림대도 연간 350ha씩 확대조성하며, 산불진화 인프라 확대를 위해 산불진화 임도를 2030년까지 6200km 신설하고 물가두기 사방댐도 2027년까지 63개소로 확대할 예정이다,
피해산림 복구는 산사태 등 2차 피해예방을 위한 응급복구와 산림생태계 회복 목적의 항구복구로 나눠 실시할 계획이다.
응급복구는 산사태예방사업을 6월 장마철 이전에 마무리할 계획이며 생활권 주변지역 약 1118ha에 대해 긴급나무베기를 실시할 예정이다. 항구복구는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1만8000ha 지역을 복구조림해 나가며 산림유전자원 보호구역 등 생태적 가치가 높은 지역은 지역주민·전문가·시민단체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산림생태계 복원전략을 마련한다.
더불어 산림청은 이번 산불로 피해를 입은 임업인들이 조기에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융자금 등을 신속히 지원하기로 했다.
임상섭 산림보호국장은 “이번 산불진화에 많은 지원을 해준 여러 중앙부처와 지방정부 그리고 산불진화대와 지역주민께 감사드린다”며 “다음달까지는 대형산불 위험이 계속될 것이므로 경각심을 늦추지 않고 국가와 국민이 한뜻으로 산불예방에 최선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