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개방 확대와 전반적인 생산성 향상 등으로 가격 및 수급불안이 지속되고, 대기업의 유통업 참여가 확대되는 가운데 식품의 안전·맛·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와 관심이 고조되는 등 소비자 주권시대가 도래되고 있습니다. 참여정부는 이같은 유통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새로운 유통개선 대책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입니다.”

김선오 농림부 농산물유통국장은 새로운 유통개선대책방향으로 산지전문조직 육성, 공동마케팅 개념 도입을 통한 차세대 유통 핵심주체 육성, 도매시장 노후시설 정비 보완과 다양한 시장거래제도 운용, 친환경농산물의 직거래확대, 표준규격 소비자위주 개편, 모범농업관리지침(GAP)제도, 핵심품목 위주 품질인증 특화, 소비자의 알권리 충족을 위한 친환경·품질인증·수출농산물 생산농가 중심 생산이력제 도입 등을 제시했다.

특히 그는 새로운 유통정책 추진전략으로 “농업인 위주의 획일적·평균적 지원에서 우수 농업인조직 위주로 `선택과 집중''을 통해 차별화하고, 정부주도의 추진에서 벗어나 농업인·농협·정부의 역할을 분담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농산물유통국장은 개방형 직위로 3년간의 임기를 보장받으면서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까지 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김 국장이 제시하는 이같은 유통개선대책은 더더욱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김 국장은 지난해 12월 18일 공모를 통해 농산물유통국장에 임명돼 2004년 12월 17일까지 임기가 보장돼 있다.

이와 관련 김 국장은 재임기간중 고품질·안전농산물만이 선택받을 수 있다는 인식을 농민들에게 심어주고, 농업인의 유통·가공참여를 확대시켜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이 시장에 출하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다양한 소비지 유통시장의 발전을 지원하고, 산지와 소비지간 물류 효율화 추진에 역점을 둘 계획이다.

“올해 농업인의 참여하에 전문조직과 산지유통센터 등을 중심으로 산지유통을 조직화·규모화해 시장교섭력을 강화하고, 포장화·브랜드화를 통한 `얼굴있는 농산물'' 유통을 촉진시켜 나가겠습니다.”
김 국장은 “대형유통업체 등 소비지 유통주체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생산자의 시장 대응력 제고가 시급한 과제”라며 이같이 밝히고 “식품의 안전·맛·건강에 대한 소비자 욕구와 관심고조에 따라 생산단계부터 안정성 관리를 강화하고, 친환경·품질인증 고품질 농산물이 시장에서 우대받도록하는 정책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올해 출하과정의 유통비용을 줄여 나가기 위해 팔레트·하역기계화를 촉진시켜 나가고, 산지유통전문조직 중심으로 포장재비·공동선별비 우선 지원을 통해 팔레타이징 조기정착을 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농림부는 내년부터 시장도매인제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와 관련 김 국장은 “경매제의 경직성을 완화해 유통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자의 출하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지방도매시장부터 시장도매인제를 우선 도입하고, 그 성과를 검증한후 중앙도매시장에서도 단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21개 지방도매시장 중 현재 8개 도매시장은 시장도매인제를 도입할 수 있는 근거를 업무규정에 반영했으나 아직 도입한 시장은 없으며, 내년에 개장예정으로 있는 강서농산물도매시장에서 시장도매인제가 도입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농림부는 앞으로 시장도매인제 정착을 위한 워크샵 개최, 도상연습 실시 등을 통해 정산창구, 출하자관리, 부정유통신고센터 설치, 유통정보제공 의무화 등 시장도매인제 세부운영 방안을 정립해 차질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농림부는 이같은 유통개혁 추진을 위해 조직개편에도 나서고 있다.

김 국장은 이에 대해 “농산물 유통정책 여건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 안전성·품질고급화 등 소비자 지향적 농산물 생산유통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소비안전과''를 신설하고, 농산물 수출업무도 국제농업국에서 이관받아 수출업무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신설될 소비안전과는 농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안전성 강화 요구에 부응하는 조직으로 농축산물 관련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을 총괄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