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국토 43.5%를 차지하고 있는 산촌의 인구감소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귀농·귀촌을 통한 정주 중심 정책에서 탈피해 도시와 산촌의 교류·관계를 강조한 관계인구개념을 활용한 정책이 도입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장주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정책연구과 박사는 최근 산촌관계인구 개념과 확대방안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장 박사에 따르면 지난해 산촌인구는 138만 명으로 처음으로 130만 명대에 진입했으며 2015년부터 매년 6만 명 수준의 도시민이 산촌으로 유입되고 있지만 고령인구 사망과 청년인구 유출속도가 더 빨라 산촌인구 감소 흐름을 전환시키기엔 역부족이다.

특히 지난해부터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데드크로스현상이 나타나면서 우리나라 총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해 기존의 귀농·귀촌 정책을 통한 인구유입만으로는 산촌 인구 감소에 대응하기에는 한계에 봉착한 상태다.

이에 장 박사는 산촌에 거주하지 않더라도 산촌의 경제·사회·문화 활동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는 인구인 산촌관계인구개념을 도입해 산촌인구문제를 풀어나갈 것을 제안했다.

836만 명으로 추산되는 산촌관계인구는 산촌에 관심이 있는 관계창출가능 인구, 정기적으로 산촌에 방문 등을 하며 산촌과 관계를 맺는 관계확대 인구, 산촌경제·활동에 직접 참여하는 관계심화 인구 3부류로 나눌 수 있다.

장 박사는 산촌관계인구를 확대하기 위해 지속적·정기적 산촌 방문 기회 제공 자연휴양림 등 다양한 산림복지서비스 제공시설 적극 활용 도시민의 장기체류 공간, 산촌자원 활용한 창업·비즈니스 기회 제공 등을 제언했다.

장 박사는 산촌관계인구 확대를 통해 산촌 문제 해결에 필요한 인적자원을 확보하고 산촌 고유의 새로운 서비스 공급과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