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드론·지상방제로 전환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올해부터 소나무재선충병 항공방제를 전면중지하고 정밀드론·지상방제로 전환한다.
산림청은 지난달 2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재선충병 방제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헬기를 통해 방제 약제를 대면적에 살포하는 항공방제 면적은 2015년 2만2000ha를 정점으로 지속적으로 축소돼 지난해에는 1000ha에만 시행됐다. 그러나 환경단체 등에선 항공방제에 쓰이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의 위험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하며 항공방제 전면 중단을 요구해왔다.
이에 산림청은 지난해 9월부터 ‘산림병해충 약제전문가협의회’를 구성, 여러 번 토론회를 거쳐 사회적 논란을 감안해 최종적으로 항공방제 중지 결정을 내렸다.
다만 지자체 담당자들이 임가 소득과 직결되는 밤나무 해충과 경관자원을 훼손하는 돌발해충에 대한 항공수요를 제기해 비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 우선사용을 권고했다.
항공방제의 빈자리는 드론·지상방제로 채워지며 이미 현장에서 널리 사용중인 예방나무주사도 적극활용된다. 특히 드론방제는 비산거리가 항공방제보다 짧아 보다 정밀한 방제를 할 수 있다.
약제방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드론·지상 방제시 사전적정성 검토 절차 도입도 검토 중이다.
산림청은 방제기관으로 하여금 대상지 선정단계에서 산림환경연구기관 등 전문기관으로부터 대상지 적합여부, 약제선정, 완충구역 설정 등을 포함하는 사전적정성 검사를 거치게 하고 방제 후에는 산림병해충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해 드론·지상방제 결과를 기록해 사후관리를 체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림 분야를 비롯해 농약, 생태계 영향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협의회를 정례화하고 산림과학원을 중심으로 산림병해충 방제 약제 환경영향 연구과제를 확대 수행하는 등 산림병해충 친환경 방제 기반 마련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강혜영 산림재난통제관은 “개선된 절차가 잘 정착될 수 있도록 방제기관의 협조를 부탁드리며 재선충병 방제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를 기하겠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