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지난 11일 발생한 산불로 피해를 입은 경남 하동의 지리산국립공원와 백두대간 보호지역에 산림생태복원이 추진된다.

산림청은 지난 23일 경남 하동군 의신마을에서 하동 보호구역 산불피해지에 대한 생태복원 전략 모색을 위해 관련기관, 전문가 등과 함께 경남 하동 산불피해지 산림생태복원 현장토론회를 개최했다.

산림생태복원은 자생식물, , , 나무 등 자연재료와 피해목의 움싹이나 주변 나무에서 떨어진 종자를 자연 그대로 이용하고 부분적으로 산림을 관리·보완해 산림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을 빠르게 높이는 생태적 복원방식이다.

산림청이 주관한 이번 토론회에는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생명의숲, 관련 전문가, 지역주민 등이 참여해 산불피해지 현장을 함께 둘러보고 피해지에 적합한 산림생태복원 방식과 향후 계획 등을 논의했다.

산림청에서는 그간 백두대간, 비무장지대(DMZ) 일원, 섬숲 등 한반도 핵심생태축 복원에 중점을 둬 왔으나 지난해 3월 발생한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불피해지 생태복원을 시작으로 생태적 가치가 높은 보호구역에 대한 산림생태복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번 하동의 산불피해지도 산불피해도, 인명·재산피해 우려, 자연회복력 등 현장 여건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산림생태복원과 자연회복을 중심으로 복원 방향을 마련할 예정이다.

김용관 산림보호국장은 산불피해지의 산림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이 원래의 상태에 가깝게 유지·증진될 수 있도록 전문가, 시민단체, 지역주민 등과 함께 합리적인 산림생태복원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