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문표 의원·산림청, 정책토론회 개최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산불의 대형화·연중화·전국화가 뚜렷해지면서 대형산불 예방을 위한 숲가꾸기 등의 예방정책과 진화 인력·장비·기반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홍문표 의원(국민의힘, 홍성·예산)과 산림청이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개최한 ‘기후위기 대형산불, 어떻게 막을 것인가’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이같이 입을 모았다.
먼저 발제자로 나선 권춘근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우리나라 산불 양상이 연중화·대형화·전국화됨을 지적하며 “산불의 연중화 현상 가운데 대형산불에서 안전한 지역이 없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과거와 달리 산불이 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도심으로 번져 인명·재산피해를 일으키고 귀농귀촌, 산림휴양 등으로 산속 깊은 곳에도 인공시설물이 설치되면서 산림과 시설이 화재로 서로 피해를 주고받을 수 있는 가능성도 지적됐다.
권 박사는 “미국은 지난해 산불위기에 대처하고 산림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산림연료관리 10년 전략’을 발표하면서 국·사유림에 대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며 “시사점은 연료저감을 위한 숲가꾸기에 많은 투자를 해야 대형화될 산불에 효율적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라 제언했다. 이어 △대국민 산불예방교육 의무화, 취약지 사전파악·관리체계 구축 △국가안보 재난관리 체계 구축과 유관기관 협력체계 강화 △초대형 헬기, 고성능 진화차 등 산불진화 장비와 진화 인력, 임도 확충 △산불복구 시 불에 잘 견디는 내화수림 조성 등을 제안했다.
이창우 숭실사이버대 교수도 “산불 예방에 1달러를 쓴다면 대응에는 8달러를 써야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며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산불이 일어나면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만 집중하지만 선진국에선 예방관리에 더 집중한다”고 꼬집으며 숲가꾸기, 계획적 불놓기 등을 통한 산불위험 저감관리 정책을 제언했다.
김만주 산림청 산불방지과장은 “산림연료량이 증가한 만큼 진화전략도 바꿔야 한다”며 “전문 진화대도 현장에 들어가기 두려워할 때가 있는만큼 이제는 산불 대응에도 전문화되고 장비를 갖춘 인원이 필요하다”고 산림재난특수진화대와 고성능 장비 확대를 요청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주요 산불 원인 중 하나인 농산촌 주민들의 영농부산물 소각에 대한 국가·지자체의 지원 필요성도 제기됐다.
차상화 행정안전부 환경재난대응과장은 “영농부산물은 파쇄해야 처리할 수 있는데 파쇄기를 빌려준다고 해도 고령화 등으로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결국 소각하게 되는 것”이라며 “단속만 해선 안 돼 올해부턴 산림조합이 취약 지대에 가서 직접 영농부산물을 파쇄해주는 사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파쇄기 지원사업에 필요한 인건비가 편성 안돼 지자체 등과 인건비 지원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