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 품질은 거세우가 많아지고 등급간 격차가 벌어지면서 상향조정 되는 분위기이기는 하지만 고급육의 차별화를 위해선 등급 세분화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김건수 씨엔씨푸드시스템(주) 사장은 최근 쇠고기판매 현황을 보면 산지가격은 높고 소비는 둔화돼 있어 유통업체의 입장에서는 난감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현재 쇠고기는 계약농장과 천하제일사료 고객농장으로 부터, 돼지고기는 육공업체, 닭고기는 하림, 체리부로로 부터 구매하고 있는 씨엔씨푸드시스템은 축산물구매시 품질, 안전성, 가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 판매전략은 고객의 신뢰 확보를 기본으로 소비처별로 요구하는 품질이나 등급에 맞는 제품을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김 사장은 “소비자들은 냉장육 상태의 마블링이 잘된 것으로 지방이 제거된 상품을 선호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소비자들의 축산물 구매패턴은 구매단위는 소량으로 품질면은 고급화, 안전성으로 가고 있다”며 “소비자들은 등급이 높고 고급요리에 필요한 부위일수록 냉장육을 원하고 국거리, 장조림용처럼 하급요리용은 냉장냉동의 구분에 대해 둔감하다”고 덧붙였다.
또 축산물브랜드에 대해 그는 “현재 시장상황을 보면 축산물브랜드의 정의와는 다른 방향으로 난발돼 있다”며 “정부 또는 공공기관에서 개입하던지 해 시장이 빨리 정리되고 소비자들의 수준도 향상되어 진정한 브랜드로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는 분위기가 정착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와 함께 “종전의 축산물 고급육은 고기 자체의 품질에 비중이 많이 주어졌다”며 “현재나 미래에는 품질은 물론 전 유통과정이 투명하고 안전해 안전에 대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현재 축산물유통에 있어 우육의 경우 등급이나 원산지, 가공방법 등을 속여 판매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생각한다며 강력하고 효율적인 제도적, 법적 보완장치가 이제라도 마련되기를 희망한다”고 주장했다.
“선진국과 비교해 현재 국내 유통상황은 기획력과 예산이 부족하다”며 “앞으로 사육부터 유통, 소비자 단계까지 전과정에 걸쳐 참여자들의 시각과 수준이 변해야 할 것”이라고 김 사장은 강조했다.
그는 “사육농가에서 부터 최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자 하는 의지를 돋우고 소비자들이 이같은 품질에 걸맞는 가격을 지불하고 구매할 수 있도록 등급을 세분화한다면 축산물의 경쟁력은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