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림복지진흥원 개원 8주년 심포지엄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인구 고령화, 사회적 고립감 상승 등으로 산림복지·치유산업이 유망해지면서 산림복지·치유업이 지방과 산촌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견들이 제시됐다.
한국산림복지진흥원이 지난달 25일 대전 호텔ICC에서 개최한 개원 8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선 산림복지·치유산업의 활성화와 이를 통한 지역 상생 발전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들이 논의됐다.
현재 산촌을 비롯한 지방사회는 인구 유출이 심화하면서 활력이 저하되고 인구감소지역과 그 외 지역 간의 경제적 격차가 심각해지고 있지만 한 편으로 △귀농·귀촌인구 증가 추세 △생활인구 증가 △기대수명 증가 등으로 치유산업 성장전망이 기회요인으로 있다.
최희정 한국웰니스관광협회장도 ‘치유산업현황 및 전망’ 발표를 통해 산림복지·치유산업의 성장가능성을 밝혔다.
최 회장은 “코로나19 대유행을 거치면서 사회적 고립감과 우울증을 겪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이에 대한 반향으로 여행을 통해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웰니스 여행 트렌드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자연환경에서 견강과 행복의 가치를 중시하는 웰니스 관광 수요 확대와 관련 산업이 급성장하고 웰니스 관광 영역도 기존 뷰티스파, 명상에서 숲캉스 등 자연치유형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산림복지진흥원도 지난해 발표된 제2차 산림복지 진흥계획(2023-2027)에 따라 ‘산림복지로 지역과 국민을 이어주는 상생 플랫폼 실현’을 목표로 △지역 산림복지 역량 육성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주민 삶의 질 제고를 3대 추진 방향으로 지역상생사업을 전개한다는 전략을 구상, 실행하고 있다.
이우진 산림복지진흥원 민간성장지원본부장은 ‘지역상생 사업추진 사례와 발전방향’ 발표에서 “산림복지전문업 역량강화 지원 사업을 통해 지난 2년간 지원 37개사, 29건의 서비스 개발, 507명 고용, 67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다”며 “임업인의 산림복지업 진출도 지원해 지난해 임업·산림복지 복합경영 지원사업 결과 사업 참여 시행기관 매출이 153% 증가했으며 사업 전후 시행기관 역량진단 결과 19%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그 외에도 이 본부장은 산림복지진흥원이 △산림복지 일자리 아카데미 운영 등 산림복지 일자리 창출 △산림치유음식 개발·보급 △지역·산촌 숲여행 활성화 사업을 시행하면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관 주도의 산림복지를 넘어 산주·임업인 등 민간이 참여하는 산림복지비즈니스가 활성화돼야 산촌 등 지역활성화에 산림복지·치유산업이 기여 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성주 피노키오자연휴양림 대표는 토론에서 “관 주도형 산림복지정책이 대 국민 산림복지서비스 보급 관점에선 기여한 면이 있지만 민간 산림복지서비스 산업을 다소 위축시키는 영향을 준 측면도 있다”며 “지속가능한 수익모델은 민간영역에서만 나올 수 있으므로 산림복지 구성원들에게 공공 중심의 시장에서 민간 시장경제로의 방향전환에 대한 인식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 대표는 “산림복지 이용자들에 대한 산림복지서비스의 양적 증대와 질적 향상으로 산촌지역 활성화와 산촌 생활인구 증가·확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는 산촌 구성원들에 대한 산림복지 서비스 혜택 증대로 귀결되는 선순환 구조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백규흠 숲뜰애 대표도 “복지는 국가가 무상으로 지원해준다는 인식이 있어 실질적으로 지역 산촌민, 산주, 임업인 등에겐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다”며 “지속가능한 산림경영과 산림복지를 연계해 산주와 임업인이 참여하는 모델 개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백 대표는 또 “산림자원법, 산지관리법, 임업진흥법, 산림휴양법 등 보호에 초점이 맞춰진 산림관계법규 상의 산림규제를 완화해 산주, 임업인, 산촌주민, 국민의 삶의 질 향상과 산림복지·치유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