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경농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 업무협약(MOU)를 맺고 국내 인삼 연작장해 방지에 나선다.

 

토양 연작장해 경감을 위해 꾸준히 힘써온 경농이 국내 인삼 연작장해 방지에 앞장선다.

경농은 지난달 31일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이하 국립원예원)과 인삼 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기계화 기술 개발·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경농은 국립원예원이 개발한 종합방제기술과 회사의 토양훈증 기계처리기술을 융합해 인삼 연작장해 방지에 한층 더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두 기관은 토양훈증제 노지처리기 실증과 장비 개선 토양훈증 기계화 기술 투입효과 검정 인삼연작장해 경감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 운영과 기술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한다.

경농은 2021불스와 농진청 국립농업과학원 등과 함께 노지 토양소독 처리기를 개발한 바 있다. 배토부터 로터리 형성, 노지 평탄화, 토양훈증소독, 비닐 피복과 커팅까지 6단계 작업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경농은 해당 기기를 활용해 자사 토양훈증소독제 팔라딘을 살포해 1980(600) 규모의 토지 소독 작업시간을 약 30분으로 단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팔라딘을 토양 깊숙이 전달할 수 있어 기존 토양훈증소독제 대비 효과 측면에서도 기대할 만하다.

국립원예원 인삼특작부는 인삼 연작장해 방지를 위해 녹비작물과 훈증, 길항균 투입을 조합한 종합방제기술을 개발하고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이 기술에 경농의 토양훈증제 기계처리기술을 조합하면 노동력은 절감하고 훈증효과는 높인 더욱 우수한 연작장해 방제기술이 개발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재명 경농 마케팅부문장은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국립원예원의 종합방제기술과 경농의 토양훈증 기계화 기술이 접목돼 인삼 연작장해 경감에 큰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며 인삼 작물에 적합한 형태로 장비를 더욱 개선·발전시켜 국내 인삼 연작장해 방지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대현 국립원예원 인삼특작부장은 인삼산업에 있어서 연작장해 경감기술은 가장 시급히 개발해야 할 기술 중 하나라며 민간의 우수한 기술을 적극 수용해 인삼 연작장해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방제기술을 신속히 마련하고 실증해 인삼산업의 새로운 발전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