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임산물 총 생산액은 건설경기 부진으로 전년보다 감소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지난해 임산물생산조사 결과 약용식물, 산나물 등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액은 전년 대비 3.9%, 916억 원 증가한 24706억 원으로 나타났다. 다만 건설경기 부진으로 토속류 수요가 감소함에 따라 임산물 총 생산액은 전년보다 8.0% 감소한 71298억 원으로 조시됐다.

산림청은 5‘2023년도 임산물생산조사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단기소득임산물 생산액을 분류별로 오미자·마 등 약용식물 전년 대비 9.3% 증가한 6470억 원 더덕·도라지 등 산나물은 19.0% 증가한 4703억 원 칡뿌리·옻나무순 등 수목 부산물은 25.6% 증가한 1444억 원이었다.

주요 임산물의 품목별 생산현황을 보면 대추는 충북 보은군 밤과 생표고는 충남 부여군 복분자딸기는 전북 고창군 건표고는 전남 장흥군 산양삼과 도라지는 강원 홍천군 마는 경북 안동시 오미자는 경북 문경시 떫은감은 경북 상주시 더덕은 제주시에서 가장 많이 생산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임산물 생산액은 경북도가 15212억 원으로 가장 높았고 강원도가 12445억 원으로 2, 전남도는 9779억 원으로 3위를 기록했다.

다만 임산물 총 생산액은 전년 77467억 원보다 8.0% 감소한 71298억 원이었다. 이에 대해 산림청 측은 건설경기 악화에 따른 토석 생산량 감소(29.5% 하락) 등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손순철 산림청 산림빅데이터팀장은 정확하고 체계적인 조사·분석으로 통계의 품질과 신뢰도를 높이고 누구나 통계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하는 적극행정을 통해 임업인들의 안정적인 소득창출과 임산물 산업발전에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임산물생산조사는 14145개 품목 임산물에 대한 생산량과 생산액을 매년 공표하는 국가승인통계(136006)로 지역별 임산물 수급 정책 등 산림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자세한 통계자료는 산림청 누리집(forest.go.kr) 또는 산림임업통계플랫폼(kfss.forest.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