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국가해양생태공원 조성시 연안과 유역이 통합관리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국가해양생태공원은 해양자산의 생태적‧학술적‧경제적 가치를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관리를 위해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정하는 구역을 말한다. 충남도의 경우 가로림만 해역은 해양생물보호구역을 보호하고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완충구역으로서 기능을 하며 국가해양생태공원을 통해 생물다양성 증진과 복원을 위한 활동, 관찰‧교육‧체험 등 생태관광, 레크레이션 등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충남도 주최, 해양환경공단 주관으로 지난 7~8일 충남 서산시 베니키아호텔에서 열린 ‘국가해양생태공원 발전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오혜정 충남연구원 기후환경연구소장은 가로림만 일대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해양생태공원 구역에 영향을 주는 권역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통합관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 소장에 따르면 충남도가 조성하고자하는 국가해양생태공원의 구역은 국가적으로 봤을 때 연안하구 보존지역에 해당하고 충남도에서 설정하는 추계선은 연안생태축에 해당된다. 현재 가로림만의 생태는 2등급으로 이를 1등급으로 상향시키기 위해서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관리하는 동시에 가로림만 일대가 해양쓰레기문제에서 취약하다는 점을 감안,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오 소장은 “가로림만 지역의 오염관리를 위해서는 물 관리와 폐기물 관리가 함께 추진돼야 하는데 환경부의 중점 저수지 관리사업 대상지로 지정해 환경부와 해수부가 함께 나서는 방안을 검토해볼 수 있다”며 “이처럼 여러 부처의 사업을 모아서 추진할 경우 지역의 생태적 질뿐만 아니라 위해요소를 제거할 수 있어 지속가능한 이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가로림만의 중요성을 감안해 해수부가 생태조사를 강화해야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권경숙 서산태안환경교육센터장은 “우리나라 갯벌에서 3.3%밖에 안되는 가로림만에 육지에서 볼 수 있는 갯벌의 보호생물 9종 중 5종이 서식하는 등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곳이 가로림만 지역이다”며 “20년간 조사한 유럽 와덴해 갯벌의 해양생물이 168종인데 가로림만은 2018년부터 조사한 결과 717종의 생물이 있는 만큼 해양생태조사를 한층 강화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권 센터장은 “바닷새나 식물 등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가로림만 해양생태공원 조성과 연동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