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김 가격 급등에 지난해 일선 수협 위판액이 큰 폭으로 늘었다.
수협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일선 수협의 수산물 위판량은 전년 110만6000톤 대비 1만7000톤 줄어든 108만9000톤을 기록한 반면 위판액은 전년대비 4325억 원 늘어난 5조1092억 원을 기록했다. 특히 김 위판액이 2배 가량 늘었는데 지난해 김류 위판량은 전년대비 4% 늘어난 53만6000톤이었으나 위판액은 88%(5438억 원) 증가한 1조1591억 원을 기록했다. 1kg당 단가로 환산하면 2023년 1199원에서 지난해 2163원으로 2배 가까이 오른 것이다. 이에 따라 김 양식장이 밀집해 있는 전남지역의 위판액은 전년대비 3742억 원 늘었으며 특히 김 주요 생산지인 진도군수협의 지난해 위판액은 2023년에 비해 1387억 원 늘어난 3024억 원을 기록, 전국 수협의 위판액 1위를 기록했다.
어종별 수산물 위판량과 위판액을 살펴보면 갈치류와 멸치류, 오징어류, 삼치류의 위판액 감소가 컸다. 갈치는 지난 한 해 위판량과 위판액 모두 큰 폭으로 줄었는데 갈치류의 지난해 위판량은 3만5000톤으로 전년대비 33%(1만7000톤) 가량 줄었고 위판액도 전년대비 1149억 원 줄어든 3158억 원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제주 관내 수협은 전체 위판액이 7407억 원에서 6972억 원까지 줄어 위판액 감소폭이 가장 컸다. 또한 멸치류는 전년대비 365억 원, 오징어류는 314억 원, 삼치류는 260억 원 등이 줄었다.
어종별로 위판액이 많은 금액은 김류가 1조1591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뱀장어 4496억 원, 갈치류 3158억 원, 게류 3003억 원, 넙치류 2895억 원 등의 순이었다.
수협별로는 진도군수협이 3024억 원으로 가장 많았고 민물장어양식수협이 2966억 원, 제주어류양식수협이 2824억 원, 고흥군수협 2732억 원, 신안군수협 2294억 원 등으로 양식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수협들의 위판액이 상위권을 휩쓸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