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정부가 올해부터 스마트팜 수출기업의 해외 실증을 지원해 수출시장 개척에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은 지난달 27일 스마트팜 수출 확대를 위해 올해 스마트팜 해외 실증 지원사업 대상 기업을 최종 선발하고 기업별 해외 진출 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발대식을 개최했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스마트팜의 경우 국가별로 기후, 토양, 인프라 등 조성 여건이 상이해 수출 협상 시 기술력과 재배 가능성에 대한 사전 입증이 필요하다. 상대측에서는 서류상 입증 이외에 최종 수출계약 체결 전 소규모 현지 실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기업들은 대금 수령 전 현지 실증을 하는데 비용 부담이 컸으며 이로 인해 수출 협상이 중단된 경우도 있었다.
이에 농식품부는 기업의 실증 비용 부담 경감을 통해 수출 협상이 최종 계약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올해부터 신규로 ‘스마트팜 해외 실증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사업 첫해임에도 34개 기업이 지원해 최종적으로 아페스, 어밸브, 도화엔지니어링, 과학기술분석센타, 그린플러스, 초록에서 등 6개 기업이 선발됐다. 이들 기업들에게는 최대 8000만 원 내에서 국비를 지원, 현지에 소규모 스마트팜 시설·자재를 설치해 실제 작물 재배 성과를 증명하도록 함으로써 동남아·중동·독립국가연합(CIS) 등 기존 시장은 물론 북미·중국 등 신시장 진출을 도울 예정이다.
이날 발대식에 참석한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해외 실증지원사업에 선발된 기업들이 뛰어난 기술력을 해외 각지에 입증해 계약 체결에 성공함과 동시에 케이(K)-스마트팜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앞장서 달라”고 당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