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귀농귀촌 성공모델 만든다
[농수축산신문=박나라기자]
충남도, 연안환경 중장기 관리체계 본격 가동
연안환경측정망 최종보고회 개최…기후변화 대응 조사 강화 예정
충남도(도지사 김태흠)가 도내 연안환경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중장기 모니터링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3차년 연구 방향을 제시했다.
도는 21일 충남신용보증재단 본점 회의실에서 ‘연안환경측정망 중장기 모니터링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보고회에는 도와 시군 공무원, 연구진, 전문가 등 16명이 참석해 연구 성과와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이번 연구는 충남 연안 30개 정점과 주요 담수호를 대상으로 연 4회 수질과 퇴적물 변화를 조사해 장기적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뒀다.
그 결과 도내 해수 수질은 평균 3등급(보통)으로 전년과 유사했으며, 미량금속과 유기물 오염도 역시 기준치 이하로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만 천수만 내측과 금강하구 일부 지점은 육상 오염원의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높은 오염 수준을 보였다.
올해 4월부터 시작되는 3차년 연구에서는 기존 정점 모니터링과 더불어 기후변화 등 해양오염 발생 시 특별조사도 병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충남 연안의 지속 가능한 보전을 위한 정책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전상욱 도 해양수산국장은 “기후변화로 인한 연안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는 만큼, 과학적 기초자료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충남 연안의 건강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정점별 세부 결과는 국가해양환경정보 누리집의 ‘충청남도 연안환경측정망 조사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다.
충남도, 귀농귀촌 성공모델 만든다
정책 연찬회 개최…우수사례 벤치마킹·통합 박람회 준비 본격화
충남도 농업기술원(원장 김영)은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한 정책 개선과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20~21일 양일간 전주 라한호텔에서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 연찬회’를 개최했다.
이번 연찬회에는 도내 시군 농업기술센터 관계자 21명이 참석했으며, 인구소멸 대응과 귀농귀촌 유입 확대를 위한 정책 방향을 중점적으로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오는 4월 열릴 ‘Y-FARM EXPO 2025(귀농귀촌 지역살리기 박람회)’의 시군 공동부스 운영 방안을 협의하고, 전북특별자치도의 귀농귀촌 정책 특강, 창업자금 대출 심사 기준 강의, 완주군 귀농귀촌센터 벤치마킹 등을 진행했다.
특히 9년 연속 귀농귀촌 인구 유입 전국 1위를 기록한 완주군의 사례를 통해 지역 맞춤형 정책 발굴의 필요성과 실행 전략에 대해 현장 중심의 의견을 나눴다.
도 농업기술원은 박람회에서 시군별 개별 부스 운영 대신 통합부스를 운영해 홍보 효과를 극대화하고, 특강을 통해 기존 정책에 새로운 접근을 접목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2023년 기준 충남의 귀농귀촌 인구는 5만2051명으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규모다. 특히 귀촌 인구는 경기도에 이어 두 번째로 많으며, 타 지역 유입률도 84.2%에 달해 전국 2위를 기록했다.
손변웅 도 농업기술원 귀농귀촌 담당자는 “충남은 이미 높은 귀농귀촌 선호 지역으로 자리매김했지만, 정착 지원 예산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예산 증액과 정책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