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축산신문=김동호 기자]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어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파편화돼 있는 지원체계를 고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수산자원공단 주최, 본지 주관으로 지난 13일 열린 ‘청년의 안정적 어촌 정착을 위한 어선청년임대사업 개선방안 좌담회’에서 참석자들은 정부, 지자체, 기관 등에 분산돼 있는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고 관련 지원체계도 한층 고도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박상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어촌연구부장은 “정부는 어선청년임대사업을 통해 임차료의 50%를 2년간 지원하는데 이 사업만으로는 청년들이 수산업‧어촌에 진출할 때 발생하는 문제들이 해소되지 않는다”며 “정부와 지자체에서 다양한 지원사업을 진행하지만 지원사업은 모두 공급자 중심으로 이뤄져 귀어희망자가 직접 다 찾아서 받아야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해양수산부에서 여러 부서가 나눠서 하고 있는 정책들을 수요자 관점에서 재정비하면 정책의 수요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어선청년임대사업으로 귀어한 신동선 선장도 “청년들은 2년간의 임대사업이 종료된 이후를 대비해야 하는데 사업기간 동안 기술도 익히고 수익을 올려 배를 구매하는 것은 어렵다”며 “귀어자금을 활용하려 해도 대출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은데 어선청년임대사업을 통해 2년간 어업을 익힌 사람들은 리스크가 적은 만큼 자금을 신청하고 지원받는 과정이 수월하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도섭 한국어촌어항공단 귀어귀촌종합센터장은 “귀어희망자들이 수산업과 관련한 정보를 찾아보기 위해서는 통계청과 정부, 지자체 등의 누리집을 찾아서 확인해야하는데 이를 모두 찾는 것은 쉽지 않다”며 “따라서 산재된 정보를 한데 모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