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산해양위원회, 격렬비열도·외연도·호도·원산도 찾아 어업·관광·생활현안 점검
“섬 주민 삶의 질과 전략가치 함께 보겠다”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파도가 잦아들자, 섬의 숨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회(위원장 이연희)가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충남 서해 원거리 섬 지역을 직접 찾아 주민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회(위원장 이연희)가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충남 서해 원거리 섬 지역을 직접 찾아 주민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회(위원장 이연희)가 지난 17일부터 이틀간 충남 서해 원거리 섬 지역을 직접 찾았다.

위원들은 격렬비열도, 외연도, 호도, 원산도를 차례로 방해 해양영토 수호의 최전선이자 수산업과 관광의 잠재지로 주목받는 섬들의 실태를 점검하고 주민 목소리를 들었다.

이번 방문은 충남도와 의회가 지속적으로 강조해 온 ‘섬 지역 상생발전 전략’의 일환이다.

특히 격렬비열도항 항만 개발 사업, 바다숲 조성 등 주요 정책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직접 확인하며 정책 실행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도 함께 담겼다.

격렬비열도, 전략기지로서의 가치 재확인

농수해위의 첫 방문지는 충남 최서단, 서해 영해기점 도서인 격렬비열도였다.

위원들은 이곳에서 불법어업 감시 체계, 항로표지 설치 현황, 해양환경 관측 활동에 대한 브리핑을 받았으며, 격렬비열도항 개발 현장을 직접 점검했다.

“섬에 다가가면서부터 항만 정비가 얼마나 시급한지 실감이 났습니다.”
위원들은 접안시설 보강, 정기운항 체계 확보, 국방·수산 융합 인프라 조성 필요성 등을 집중 논의하며, 이곳이 단순한 도서가 아닌 국토방위와 수산자원 관리의 전초기지임을 재차 강조했다.

외연도, 주민 삶과 관광자원의 교차점

외연도에서는 바다숲 조성 사업 현장 점검에 이어 주민 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에는 현지 어민, 관광업 종사자, 고령 주민 등이 참여해 어업환경 개선, 생활 인프라 부족, 교통 편의성 확보 문제를 허심탄회하게 털어놨다.

현재 외연도에는 169세대, 312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하루 두 차례 운항하는 여객선을 통해 연간 1만 3천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다. 위원들은 “섬 고유의 생태와 어촌문화가 관광과 조화를 이루도록 정주환경 개선과 콘텐츠 개발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호도·원산도, 관광과 어업의 균형점

이틀간 일정의 마지막은 호도와 원산도 방문으로 마무리됐다. 위원들은 각 섬의 관광 자원 개발 가능성,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 필요성, 해양쓰레기 대응 방안 등을 꼼꼼히 살폈다. 특히 기후변화로 인해 해양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어민과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실질적 대책 마련을 위해 기초 연구 및 실증사업 확대 필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이연희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장은 17일 외연도 주민 간담회에서 섬 지역 생활 여건 개선과 해양수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섬은 국토의 끝이 아닌 시작점”이라며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전략적 가치 강화를 위해 도의회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연희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장은 17일 외연도 주민 간담회에서 섬 지역 생활 여건 개선과 해양수산업 발전 방안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이 위원장은 “섬은 국토의 끝이 아닌 시작점”이라며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전략적 가치 강화를 위해 도의회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연희 농수해위 위원장은 이번 현장 방문을 통해 “격렬비열도는 대한민국 서해의 눈이며, 외연도와 같은 섬들은 주민 삶의 공간이자 해양경제의 미래 자산”이라며 “섬이 지닌 전략적 가치와 주민 삶을 함께 끌어올리는 정책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들은 주민들의 목소리는 단순한 민원이 아닌, 우리 해양수산정책이 가야 할 방향”이라며 “섬은 국토의 끝이 아니라, 바다로 향하는 시작점”이라는 철학 아래 정책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현장 방문은 충남도의회가 단순한 서류 점검을 넘어 ‘섬으로 가는 의회’의 실천을 보여준 사례다.

섬 주민들의 삶이 단절이 아닌 연결로, 낙후가 아닌 기회로 바뀔 수 있도록 충남도의 의정 활동이 더욱 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