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최근 수도권 시민들의 일상에 큰 불편을 주고 있는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가 7~10일 이내에 대부분 자연 소멸할 것이란 예측을 담은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국립산림과학원은 러브버그 발생양상을 예측모델로 분석한 결과 지난 1일 전체 활동의 약 86%가 진행돼 7~10일 이내에 대부분의 개체가 자연소멸할 것으로 전망하는 연구결과를 지난 4일 발표했다.
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는 시민과학 플랫폼 아이내츄럴리스트(iNaturalist)에 등록된 관찰 기록과 기상 자료를 결합해 러브버그의 활동 개시, 최성기, 종료 시점을 예측했다. 분석 결과 올해 러브버그의 최초 발생기는 전년보다 약 일주일 늦어졌으며 이에 활동 종료 시점도 늦춰질 것으로 예측됐다.
또 경기 남부와 중부 지역에서도 관찰 기록이 확인됨에 따라 분포가 확장될 것을 보인다고 전했다.
러브버그는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관찰되는 부식성 파리류로 인체나 농작물에는 피해를 주지 않지만 대량 발생시 일시적 불편을 유발해 시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주로 6~7월에 발생하는 성충은 꽃가루를 옮기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불빛에 모이는 특성과 높은 밀도로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주고 있다.
한혜림 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장은 “관계 부처와 협력해 러브버그의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앞으로도 신뢰할 수 있는 예측결과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박세준 기자
sejpark2002@aflnew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