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호 의원 “체계적 지원 위한 조직화 절실…현장 목소리 제도화할 것”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충남 청년 수산업인의 조직화를 위한 ‘충남 청년수산인연합회’ 결성이 본격 추진된다.

충남도의회 ‘청년수산인 단체 조직화를 위한 연구모임’(대표 신영호)은 지난 15일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 태안사무소에서 제3차 회의를 열고, 연합회 결성을 위한 실무 논의와 청년어업인 정책 제안 등을 최종 점검했다.

이번 회의에는 당진·서산·태안 지역 청년수산인들이 참석해 귀어 이후 현장에서 겪는 애로사항과 기존 정책의 사각지대를 짚고, 실효성 있는 정책 설계를 위한 대안을 제시했다.

정병우 충남도 해양수산국 어촌산업과장은 △청년어촌정착지원사업 △청년바다마을 조성 △농어촌진흥기금 이차보전 △귀어귀촌지원 등 현행 청년수산인 대상 지원정책을 소개하고, 향후 연합회 결성 추진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현장에서는 실질적인 유통·판매 지원과 어업 진입 장벽 완화, 기존 청년어업인 대상 정책 보완의 필요성이 잇따라 제기됐다.

김규상 청년수산인(당진)은 “수도권과의 접근성 때문에 충남 귀어를 선택했지만, 인허가 절차가 너무 까다로워 시작조차 어렵다”고 호소했고, 강승원 청년수산인(태안)**은 “생산보다 유통이 더 중요하다. 충남에 자체 유통센터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강희 청년수산인(태안)**은 “귀어 정책은 잘 돼 있지만, 기존에 정착한 청년어업인은 뒷전”이라며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지속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박태욱 청년수산인(서산)은 “청년 어업 인력의 이탈이 심각한데도, 현장의 목소리는 정책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며 개선을 촉구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연합회 결성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됐으며, 청년수산인의 결집과 목소리를 제도화하는 첫 단추로서 조직 출범의 중요성이 강조됐다.

신영호 의원(국민의힘, 서천2)은 “청년수산업인들이 한목소리를 내야 정책이 바뀔 수 있다”며 “연합회 출범을 계기로 청년어업인의 권익을 보호하고, 실질적인 정책 지원을 이끌어내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관련 조례 제정은 물론, 타 시도 청년단체와의 연계와 비전 수립도 병행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연구모임은 업종별 세부 회의를 추가로 열어 다양한 분야 청년수산인의 의견을 수렴하고, 연합회 조직 기반을 더욱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