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회의서 2025년 해양수산국 업무보고와 조례안 심사
농어민 수당 동시 지급, 내수면 어업 가공시설, 해양폐기물 처리 등 주문
[농수축산심눈=박나라 기자]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회(위원장 이연희)는 17일 제360회 임시회 제2차 회의를 열고, 해양수산국 소관 2025회계연도 주요업무 추진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농어민 수당, 해양쓰레기 처리, 내수면 어업 지원, 기후변화 대응 등 해양수산 분야의 다양한 현안에 대한 의원들의 질의와 주문이 이어졌다.
신영호 부위원장(국민의힘, 서천2)은 충남도의 농어민 수당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임을 언급하며, 이를 보다 적극적으로 홍보해 도민 체감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지급 시기가 지역별로 상이한 만큼, 가능하다면 7월 안에 전 지역 동시 지급이 이뤄지도록 노력해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지난 6월 유치된 어촌어항공단 서해지사와 관련해 “충남도와 해수국이 긴밀히 협력해 하자보수와 향후 사업을 잘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김복만 위원(국민의힘, 금산2)은 서해안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관광자원으로서의 해변과 해양환경 보호를 위해 쓰레기 제로화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요청했다.
김 위원은 생활 물류 운임 지원 사업의 집행률 저조도 지적하며 “예산의 절반 이상이 반납될 예정인 상황은 문제”라며 “사업 계획 수립과 예산 집행에 더 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인환 위원(민주당, 논산2)은 내수면 어업 종사자들을 위한 가공 시설 확충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소규모 어업인들이 개별적으로 가공 시설을 갖추기엔 부담이 크다”며,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마련해 가공·판매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미옥 위원(국민의힘, 비례)은 무산된 광역 해양 자원순환센터 건립 사업을 언급하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이 부족해 사업이 좌초된 만큼, 향후에는 주민 설득 과정을 강화하고, 불가피할 경우 차선책도 마련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와 함께 기후변화로 인한 양식업 피해 대응책으로 재해보험 확대 필요성을 제기하며, “대규모 피해 발생 시 실질적인 보상이 가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편삼범 위원(국민의힘, 보령2)은 충남의 대표 수산물 산업인 조미김에 대한 전략적 지원을 요구했다.
그는 “충남이 조미김 산업의 선도 지역임에도 최근 추진력이 부족하다”며 “가공·유통·홍보 등 전 주기적 지원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고수온 현상에 대비한 양식 품종 개발과 연구 강화도 요청하며, “충남도가 고수온 대응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밖에도 해양 폐기물 재활용, 수산물 소비 촉진, 수산자원 보호 정책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회는 앞으로도 충남 해양수산 정책의 현장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지속적인 점검과 정책 제언을 이어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