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약과 케나프 이용 동물 메탄가스감소 사료 제조법” 특허 획득
가축 메탄가스 저감과 면역력 증강 동시에 해결

[농수축산신문=이문예 기자] 

[바이오루틱스 제공] 회사 로고.
[바이오루틱스 제공] 회사 로고.

몰약 발효 전문기업인 바이오루틱스(Biorootics, 대표 김지안)몰약과 케나프를 이용한 동물 메탄가스 감소 사료 제조방법(특허등록번호: 10-2832263)’이 최근 특허를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동물 메탄가스 감소 사료 개발 특허를 획득한 바이오루틱스는 최근 사명을 미르존몰약연구소에서 변경했다.

김지안 바이오루틱스 대표는 본격적으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11년 동안 사용하던 미르존몰약연구소라는 상호를 바이오루틱스(생명의 뿌리를 연구한다는 의미)로 변경하고 사람, 식물, 동물에 이르기까지 사업분야를 확장해 가고 있다면서 동물 메탄가스 감소 사료 특허를 통해 환경분야와 온실가스 감축에도 기여하는 기업으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몰약은 감람과 식물인 콤미 포라 미르라(C. myrrha)’라는 나무의 껍질에 상처를 내 채취한 천연 수지의 일종이다. 아라비아, 에티오피아, 소말리아 등 동부 아프리카 해안이 원산지로 미르라(Myrrha)라고도 불리는 몰약(학명 Commiphora myrrha)은 통증완화 작용과 혈액순환의 개선, 항염 작용이 있는 것으로 연구결과 밝혀졌다.

바이오루틱스는 몰약을 추출하고 발효한 몰약복합추출액(MHS-90) 개발에 성공해 식품원료, 화장품원료, 농사용 몰약미생물비료를 개발했고 관련 특허를 이미 획득한 바 있다.

탄소흡수식물인 케나프(Kenaf·양마)는 세계 3대 섬유 작물로 아마존 우림 지역 등 열대우림 지역에서 증가하고 있는 식물이다. 이산화탄소 흡수가 소나무보다 최대 9배 많아 대표적인 친환경 식물로 알려져 있고 잎의 조단백질(Crude Protein) 함량이 29%로 소고기보다 높고 폴리페놀도 풍부하다.

특히 케나프는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방출한다. 식물의 성장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공기에서 흡수해 효과적으로 탄소를 잡아두는 역할을 한다.

메탄가스 감소 저탄소 사료 발명자인 바이오루틱스의 김진우 연구소장(공학박사)이번에 받은 특허는 몰약과 케나프를 이용해 반추동물로부터 발생되는 온실가스 중 메탄가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료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해 제조된 사료에 관한 것이라며 항균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몰약과 영양분이 많으며 미네랄이 풍부한 케나프를 이용해 반추동물로부터 발생되는 메탄가스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김 박사는 이어 몰약에 포함된 폴리페놀과 테르페노이드와 케나프에 포함된 탄닌산을 통해 메탄가스를 발생시키는 미생물을 억제할 수 있도록 몰약의 폴리페놀과 테르페노이드가 케나프에 흡착된 몰약과 케나프를 이용해 동물 메탄가스 감소 사료를 제조하고 동물 메탄가스를 감소시키는 저탄소 사료 기술이라고 덧붙였다.

김 박사는 20년간 몰약연구에 몰두해온 과학자로 국내에서 몰약연구에 가장 권위있는 연구자 중 한 명이다. 과학적 연구를 통해 몰약이 항균, 항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감소 효과를 실제로 확인해 세계적인 학술논문저널(SCI) 어플라이드 사이언스(Applied Sciences)를 통해 발표한 바 있다.

김지안 대표는 소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매우 심각하고 특히 가축의 건강은 인류의 생존과 복지와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라며 몰약이 함유된 저탄소 사료를 먹이면 반추동물이 트림을 하면서 내뿜는 메탄가스 발생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몰약복합추출액(MHS-90)과 케나프를 발효해 만든 메탄가스 저감사료가 가축 탄소발생량을 줄일 수 있게 되길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3일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된 한우법을 계기로 가축 메탄가스 감축 사료에 대한 가치가 재조명 받고 있다.

[바이오루틱스 제공] 몰약과 케나프를 이용한 저탄소 사료 기술 특허.
[바이오루틱스 제공] 몰약과 케나프를 이용한 저탄소 사료 기술 특허.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