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임업인총연합회·한국산림단체연합회
[농수축산신문=박세준 기자]
초대형산불, 산사태 등 산림재난으로 인명과 재산피해가 다수 발생하면서 산림관리에 대해 논쟁이 벌어지는 가운데 임업인들은 꾸준한 숲가꾸기, 임도개설, 목재수확 등을 옹호하고 나섰다.
한국임업인총연합회(이하 임총련)과 한국산림단체연합회(이하 연합회)는 지난달 30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은 입장을 발표했다.
임총련과 연합회는 지난 3월 영남 지역에서 발생 한 대형 산불 피해 산주·임업인과 지역주민에게 위로의 말을 전하면서 “최근 방송 등에서 산불과 산림관리 문제를 다루면서 현장의 사실과 과학적 근거를 왜곡하거나 편향적으로 전달해 국민적 이해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음을 깊이 우려한다”며 “숲가꾸기, 임도, 헬기 진화 등 임업인들이 오랜 기간 수행해온 산림관리 활동을 산불 원인인 양 단정해서 보도한 점 등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임총련과 연합회는 우선 대형산불의 원인은 임도나 숲가꾸기 등 통상해온 산림관리와 임업 기반시설이 아니라 기후위기가 복합된 산림재난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3월 발생한 영남권 대형산불도 평년보다 평균 3도 이상 높은 고온, 극심한 건조, 초속 15m이상의 강풍이라는 기후 악조건 속에서 대형화됐다는 것이다.
오히려 숲가꾸기와 임도는 산불과 같은 산림재난 예방과 대응에 필수적이라는 주장이다.
임총련과 연합회는 숲가꾸기는 건강한 산림을 가꾸고 산림을 경영하는 데 기본으로서 연료량을 줄이고 나무 사이 간격을 확보해 대형산불의 가능성을 낮춰주며 임도 또한 산불 초기에 인력과 장비가 신속하게 들어가 헬기와 연계 진화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또 최근 극한호우로 발생한 산사태 피해도 일반산지와 벌채지의 구분 없이 다수 발생한 것을 감안할 때 임도와 목재수확이 산사태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보긴 어렵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산림재난 예방을 위해서 임총련과 연합회는 △산불취약지역 대상 고도화된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지역별 생태 특성을 반영한 간벌·숲가꾸기 체계 정립 △산림경영과 산불진화 등을 고려한 임도 설계 기준 강화 △드론·인공지능 기반 정밀 진화 시스템 확대 도입 △산림정책 결정과정에서 임업인을 비롯한 현장전문가 참여 보장 등을 제안했다.
박정희 임총련 회장은 “임업인들은 전문성이 부족한 사람들이 산림정책을 흔들고 국민을 현혹하는 것을 더 이상 앉아서 보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며 “숲의 미래를 지키기 위하 산주와 임업인의 목소리에 편견 없는 경청과 현장 임업인과의 소통·정책적 연대를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