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스마트농업 수도로…청년농 육성 등으로 농업 혁신 선도할 것"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첨단기술·청년 중심 정책 강화
농지이양·창농자금·정주지원·교육 원스톱 지원
내년 상반기 253만 평 스마트팜 단지 완공
충남도가 ‘스마트농업 수도’를 비전으로 내세우며, 청년농 육성과 디지털 전환을 축으로 한 농정 혁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1월 부임한 이정삼 충남도 농축산국장은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스마트농업정책과장, 축산정책과장 등 주요 보직을 두루 거친 현장형 컨트롤타워로, 도내 농정 전반을 총괄하며 현장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특히 지난달 기록적인 폭우로 도내 10개 시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만큼 큰 피해가 있었지만 충남도는 긴급 예산을 편성해 농가 복구와 지원에 나섰다.
이정삼 국장은 “충남 농업 경쟁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농촌을 만들기 위해 첨단기술과 청년 중심 정책을 강화하겠다”면서 “충남을 ‘스마트농업 수도’로 도약시키기 위해 청년농 육성과 스마트농업 확산을 중심으로 정책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 7월 폭우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됐다. 농업·축산 분야에서 충남도는 어떻게 대응했나.
지난달 16일부터 이어진 집중호우로 농경지와 축산 시설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도가 중앙정부에 적극적으로 건의한 결과, 예산·천안을 포함한 10개 시군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됐다. 피해규모는 농업 1만3556ha(약 5143.6억 원), 축산 700건(약 1947.4억 원)에 달했다.
정부 지원금 확정 전이라도 농가의 손실 보전과 신속한 영농 재개가 시급하다고 판단해 충남도는 자체 특별지원금 64억 원을 긴급 편성해 8월 6일 기준 1045농가, 595ha에 우선 집행했다. △보험 가입 농가는 재해복구비의 50%수준의 특별위로금 지급, △보험 미가입 농가는 보험 가입 농가의 70% 수준을 적용해 정부 복구비 100%, △보험 가입 불가 품목은 정부 복구비 150%까지 차등 지원했다.
또한 축산 분야에는 180억 원을 투입해 폐사축 처리와 특례보증을 지원했으며, 공무원·군·유관기관·자원봉사자 등 2만여 명을 투입해 응급복구에 총력을 기울였다. 앞으로 재해 대응 체계를 보완해 피해 농가가 빠르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 민선8기 4년 차를 맞는 지금 주요 성과를 꼽는다면.
민선8기 충남 농정은 농업·농촌 구조 혁신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우선 충남형 고령은퇴농 농지이양 제도를 통해 65세 이상 고령농의 안정적 은퇴를 지원하고, 이양한 농지를 청년농에게 우선 공급해 지금까지 292농가, 216ha 규모의 세대교체를 이뤘다.
또한 총 253만 평 규모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해 청년농 3000명의 창농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까지 159만 평을 착공했고, 2026년 상반기까지 전체 253만 평 착공을 완료할 계획이다.
서산 부석 일원에 조성 중인 글로벌 스마트팜 콤플렉스는 국내 최대 규모 스마트농업 단지로, 1단계 방울토마토·완숙토마토 재배동과 관리동을 이미 완공했다.
농촌 정주여건 개선에도 힘쓰고 있다. 농촌 리브투게더(20개 지구, 500호), 청년 보금자리, 실버홈 등 주거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농촌 활력을 높이고 있으며, 논산 광석에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스마트축산단지를 조성해 첨단 사육·분뇨 처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 김태흠 지사가 강조하는 ‘스마트농업’과 ‘농업인의 정의’, 어떻게 실현해 가고 있나.
지사가 강조한 핵심 과제는 농업의 산업화와 스마트농업 확대다. 먼저 현행 농업인 기준은 현실과 동떨어져 있어 정부와 국회에 지속적으로 개선을 건의하고 있다. 소규모·비전업 농가까지 모두 포함하는 기존 체계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농업을 직업으로 인정받는 환경을 마련하고, 경쟁력 있는 농업 기반을 만들겠다.
또한 스마트농업은 충남 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전략이다. 스마트팜 단지 조성과 함께 6개월 교육, 시공비 70% 지원, 최대 5억 원 금융 지원, 경영·유통 컨설팅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창농 지원 체계를 구축해 열정 있는 청년농의 안정적 정착을 돕고 있다.
# 충남 농업이 직면한 가장 큰 과제와 대응 전략은.
충남 농업은 기후위기·농가 고령화·청년 인구 부족이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청년농업인 육성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농지 이양, 창농 자금, 정주 지원, 교육을 원스톱으로 지원하고 있다. 정부의 농지이양 은퇴직불제에 도비를 추가해 1ha당 최대 1100만 원을 보장하고, 농지 임차료의 70%를 지원하며, 창업융자·영농정착금·맞춤형 교육을 통해 청년농의 안정적 정착을 돕고 있다.
또한 스마트농업을 기반으로 농업 구조 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 253만 평 스마트팜 단지를 완공해 데이터 기반 기술을 접목한 정밀농업을 구현하고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 미래 농업 경쟁력을 확보하겠다.
# 앞으로 충남 농업·농촌을 어떤 모습으로 만들고 싶나.
충남 농업의 비전은 ‘스마트농업 수도’로 도약해 대한민국 농업 혁신을 선도하는 것이다. 농업을 산업으로 재정립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데이터 기반 정밀농업과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첨단 농업를 구축하겠다. 또한 난개발로 효율성이 떨어진 농촌을 재구조화해 주거·산업·문화가 공존하는 특화지구로 조성하고, ‘충남형 스마트 탄소중립 공동영농모델’을 통해 지속가능한 친환경 농업으로 발전시키겠다.
이정삼 국장은 “충남 농업이 직면한 변화의 흐름을 위기로만 보지 않고 기회로 만들겠다”면서 “청년과 스마트농업을 중심으로 충남 농업을 대한민국 혁신의 중심지로 성장시키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