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대한상공회의소·NH농협금융지주와 MOU
민간시장 중심 탄소감축실적 거래 전환
논물관리 시작으로 감축 프로그램
거래 참여기업 확대 계획
[농수축산신문=박유신 기자]
농업분야에서도 탄소감축실적 거래가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26일 농업분야 탄소감축 실적의 시장거래를 지원하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NH농협금융지주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농업분야 탄소감축을 지속 확대해 나간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해 농업분야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사업, 저탄소 농축산물 인증제·저탄소농업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정책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난해까지 2만5513ha에서 약 85만3000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성과를 보였다.
하지만 농업분야의 경우 감축 활동에 대한 과학적인 측정과 검증 체계가 부족하고 시장거래 기반이 없어 기업이나 단체에서 실제 환경보호 효과가 없거나 심지어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제품을 생산하면서도 허위·과대광고나 홍보수단 등을 통해 친환경적 모습으로 포장하는 그린워싱(Greenwashing)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에 등록된 탄소저감 방법론인 논물관리에 대해 위성항법시스템(GPS) 기반의 사진등록과 함께 인공위성, 계측기를 활용한 과학적 이행점검 방식을 시범 운영하면서 이번 ‘탄소감축 인증표준’에서 신뢰성을 인정하도록 해 시장거래를 실시하게 됐다. 그동안 논물관리는 국제적으로 과학적 계측과 탄소시장 거래가 희귀한 상황으로 이번에 대한상공회의소의 전자탄소등록부를 통해 시장거래의 물꼬를 튼다는데 의미가 크다는 게 농식품부의 설명이다.
이날 업무협약식에는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 조영준 대한상의 원장, 박종국 NH농협금융지주 부장이 참석,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행정적 지원과 함께 탄소크레딧 발급과 거래 지원 등에 대한 기관별 역할을 분담하고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특히 농업분야 탄소크레딧 시장거래 시범사업은 내년 시행을 목표로 추진되는 새 정부 국정과제이나 기후위기 대응, 농가소득안정 기여 등 조기 시행 필요성을 고려해 앞당겨 시행하게 됐다. 농식품부는 앞으로 농업인의 탄소감축활동 참여 유도를 위한 정부 주도 인센티브 지원에서 벗어나 민간시장 중심의 탄소감축실적 시장거래로 전환하고 논물관리를 통한 감축실적 거래를 시작으로 감축 프로그램과 거래 참여기업 확대 등을 통해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다.
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이번 업무협약이 기업들이 농업분야 탄소크레딧을 구매하는 마중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