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양식장·6차 산업화·정책 재편…충남도, 전문가·어업인과 내수면 전략 대토론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충남도가 내수면어업을 미래 핵심 먹거리 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정책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는 17일 충남도서관 대강당에서 ‘2025 내수면 발전 정책 토론회’를 열고, 해양수산부·학계·어업인 등 250여 명과 함께 내수면 산업 고도화 전략을 논의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유공자 표창과 수산인과의 대화를 시작으로, 정책발표·전문가 발표·공개토론 등이 이어졌다.

참석자들은 스마트양식 기반 확충, 내수면 수산식품 산업화, 6차 산업화 모델 개발 등 내수면어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을 놓고 의견을 나눴다.

충남의 내수면 자원 규모도 다시 조명됐다. 지난해 기준 도내 내수면은 △하천 499곳 2694km △호소 8곳 1만6006ha △저수지 898곳 7528ha로, 전국 하천의 12.6%를 차지하는 수준이다. 또 도내 전업어가 246호가 생산한 수산물은 연간 2719톤·275억 원으로 전국 대비 6.3%를 차지한다.

정책 발표에서는 도윤정 해양수산부 양식산업과장이 내수면산업 정책 방향, 김석렬 공주대 교수가 스마트 전환 발전방안을 제시했다.

이어진 공개토론에서는 “충남 내수면이 블루엔진으로 성장하기 위한 조건”을 주제로 각종 현안과 지원정책 보완 방향을 집중 논의했다.

김태흠 지사는 “내수면어업은 생산량은 적지만 금액 비중이 6%에 이를 만큼 고부가가치 산업”이라며 “스마트 양식장 전환과 관광 연계 등으로 충남 내수면 산업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