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희 위원장 “축산·방역 문제는 도민 안전 직결…즉시 개선해야”
신영호 “문화재 절차도 안 거친 채 착공? 예산 낭비 위험”
김복만 “기초 행정 오류 반복…신뢰 붕괴 수준”
오인환 “악취·도축장 문제, 주민 불편 외면하면 갈등만 키워”

[농수축산신문=박나라 기자]

충남도의회 농수산해양위원회가 축산·방역·악취·유기동물 등 도민 생활과 직결된 현안들을 잇달아 지적하며 충남도에 강도 높은 시정을 요구했다.

위원들은 18일 농축산국과 동물위생시험소, 축산기술연구소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지 선정부터 예산 집행까지 현장 중심의 실질적 대책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신영호 부위원장(국민의힘, 서천2)은 동물위생시험소 부여지소 예정지의 문화재 조사 가능성을 지적하며 “충분한 검토 없이 착공을 서두르면 예산 낭비와 사업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경고했다.

그는 “부지 적정성, 사전 조사, 향후 관리까지 전 과정에 대한 검증이 부족하다”며 “문화재 관련 절차가 명확히 확인될 때까지 부지 선정과 착공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행정의 기본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복만 위원(국민의힘, 금산2)은 자체감사에서 12건이나 지적된 점을 문제 삼으며 “가족수당 부적정 지급, 공사 하자, 업무추진비 집행 오류 등이 반복되고 있다”며 “기초 행정의 신뢰성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일부 사업의 집행률이 낮은 점도 지적하며 “연말을 앞두고 사업이 미뤄지는 일이 없도록 즉각적 점검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악취와 축산시설 문제는 올해도 주요 타깃이 됐다.

오인환 위원(민주당, 논산2)은 스마트축산단지 조성 과정에서 악취 문제가 최우선 해결 과제라고 못 박았다. 그는 “악취저감시설 설치와 진입도로 개선이 늦어지면 지역 갈등만 키운다”며 “염소 사육 농가가 장거리 도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소규모 권역별 도축장 신설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주민 체감도가 낮은 사업 운영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박미옥 위원(국민의힘, 비례)은 공간재구조화 사업의 가동률을 지적하며 “예산 대비 실효성이 크게 떨어진다”고 질타했다. 또한 전원주택 지역의 노후 축사 악취 문제를 언급하며 “설치비·운영비 부담이 커서 농가가 감당하기 어렵다. 신축 단계에서 악취저감 기술과 비용 분담을 미리 검토하지 않으면 결국 사회적 갈등으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신규 건축사업 부지 선정의 허술함도 지적 대상이 됐다.

오안영 위원(민주당, 아산1)은 “동물위생시험소가 폭우에 침수돼 큰 피해를 입은 사례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며 “부지 비용 절감도 중요하지만, 사업 목적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지가 더 핵심”이라고 못 박았다.

유기동물 문제는 입양률 저조 문제와 함께 정책 강화 필요성이 제기됐다.

편삼범 위원(국민의힘, 보령2)은 “입양률이 17%에 불과한 만큼 안락사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며 “보호소 확충과 충남 현실에 맞는 조례 정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축사 신축 시 환경영향과 주민 수용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으면 민원은 반복된다”며 축산정책 전반의 전환을 요구했다.

이연희 위원장은 “축산·방역 문제는 도민의 생활환경과 안전에 직결된다”며 “이번 감사에서 제기된 사항들이 실제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집행부의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