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명 Pleurogrammus azonus
분류 쏨뱅이목 쥐노래미과
크기 다 자랐을 때의 최소 몸길이 약 27cm(2세어), 최대 약 50cm
체색 등쪽 암갈색, 배쪽 황백색
산란시기 9∼2월
서식장소 수심 100∼200m 사이의 바위나 자갈로 된 암초 지대
분포지역 북태평양의 오호츠크해, 동해 등
■생태·분포
우리나라의 동해, 일본 대마도 이북, 오호츠크해 등지에 분포하며 임연수어라는 이름은 옛날 관북 지방의 임연수라는 사람이 이 어류를 잡아와 붙여진 이름이다. 이밖에도 이민수(함북), 새치, 청새치, 가르쟁이, 다롱치(강원), 찻치(함남)등의 방언으로 불리고 있다.
■기능
임연수어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글루탐산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아스파르트산, 로이신, 리진 등의 순이다.
필수아미노산인 리진과 더불어 곡류에 부족되기 쉬운 아미노산인 트레오닌도 790mg이 함유돼 있어 임연수어는 단백질의 함량 측면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의 영양 균형을 위한 의미있는 수산식품중의 하나로 기대된다.
함황 유리아미노산인 타우린이 임연수어에는 138mg정도 함유돼 있는데 타우린이 많이 함유돼 있는 연체류, 갑각류보다는 그 함량이 적으나, 가다랑어, 대구, 전갱이, 고등어 등과는 비슷한 양이다. 따라서 임연수어의 섭취에 의한 혈압 조절작용, 동맥경화 예방, 암시야 능력의 저하 방지 및 인슐린 분비 촉진에 의한 당뇨병 치료 등과 같은 타우린의 건강 기능성이 다소 기대되는 수산식품이다.
■생산
임연수어는 유자망어업과 정치망어업에서 주로 포획되고 있으며 계절별로는 3월부터 5월까지의 봄철에 특히 많이 생산된다.
지역적으로는 강원을 중심으로 한 경북 등 동해안에서 대부분 생산되고 있다.
이 어종의 생산량이 별도로 집계된 것은 1974년부터인데, 당시 1001톤의 양을 기록했다. 임연수어는 생산량의 변동이 다소 심한 어종으로 생산량이 전혀 집계되지 않는 해도 있으며 1982년에는 8011톤으로 최고 실적을 보였다.
1990년대 이후로는 전반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거래동향
최근 가락동시장에서는 수입 임연수어 15kg상자당 3만5000원에서 5만원선에 거래하고 있고 중품은 2만5000원에서 3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