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을 받은 원죄로 한지붕 세가족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수협중앙회가 4월 1일로서 창립 43주년을 맞는다.
수협은 1962년 창립당시 18억원에 불과했던 사업규모가 95년 10조원을 돌파한데 이어 올해 20조6162억원에 달하는 등 괄목한만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수협은 2001년 경영부실로 인해 정부로부터 공적자금을 투입받는 등 사상 최악의 위기를 겪기도 했으나 이후 흑자기조를 유지하면서 2004년 1326억원에 달하는 창립 최대의 흑자를 기록하는 등 착실한 경영기반을 구축해 가고 있다.
수협은 60년대와 70년대 개발기와 성장기에 석유파동을 겪으면서도 국제협동조합연맹 정회원에 가입돼 국제적 위상을 쌓았으며 80년대 중반에 들어서 사업규모 확대 등 안정궤도에 올라섰고 90년대는 자립경영기반 확립을 위해 자체자금 조성운동과 수협대약진 운동 등을 펼치는 등 중흥기를 맞았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 IMF이후 악화된 금융환경와 어업부진, 방만한 수협경영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공적자금을 투입받지 않으면 회생할 수 없다는 시련이 몰아닥쳤다.
이로써 수협은 2001년 모두 1조1581억원의 공적자금을 정부로 부터 지원받았고 대신 지도·경제·신용사업을 완전히 분리해 독립 경영체제로 들어가게 됐다.
이 때문에 3개부서간 갈등과 반목이 끊이질 않았고 조직간 계층간 불협화음이 이어져 차석홍 회장 중도 사퇴를 비롯 감사 선거시비로 나타났고 그 후유증으로 불안한 조직의 모습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수협은 43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화합과 분위기 쇄신을 최대 화두로 삼아 불협화음을 해소하는데 주력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게 수협 내외부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이를 위해 상대방의 목소리를 경청하는 조직문화가 절실하고 독립사업부제로 인해 해결되기 어려움 현실적으로 문제는 합리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서로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 현재 완전 차단막이 처져있는 벽을 허물고 인적·물적 교환 등 실질적 교류를 위해 MOU개정을 포함, 현재 제도를 새롭게 검토해 관련기관에 공동 대응할 필요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