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 시험지 유출과 관련 인사위원회가 지난 16일 열려 관련 직원들에 대해 징계가 내려진 가운데 앞으로 시험지 유출 차단 등 투명성을 강화하는 방안이 종합적으로 나와야 한다는 여론이 비등하다.
또 징계이후 관련자들에 대한 보직 부여 등 재인사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어 주목된다.
수협에 따르면 이날 인사위원회에서 견책 1인, 감봉 2인, 직권면직 2인 등 관련자에 대한 징계를 잠정 확정하고 인사권자의 최종 승인을 남겨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징계는 당초 예상과는 달리 일부 관련자들은 징계수위가 다소 낮아졌는데 이는 시험지 유출에 직접적인 관계도 없음에도 불구하고 시험 관리·실무자 등이라는 이유와 함께 조직에 기여한 공로 등 수상경력이 반영돼 상계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험지 유출파문과 관련 현재 이뤄지고 있는 각종 수협 시험에 대한 총체적인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조심스럽게 제기됐다.
명확한 시험기준을 비롯해 출제내용과 과목 등의 조정을 포함해 외부위탁 방안 등 종합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이는 시험지 유출 파문이 드러난 이후 현재까지 시행된 시험에 대한 공정성 여부를 제기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는데 따른 것으로 반드시 수협시험에 대한 대대적인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단 인사위원회에 징계절차가 끝남에 따라 앞으로 후속인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재인사 논란이 일고 있다.
시험지 유출파문 이후 이미 대폭적인 인사가 단행된데 따라 부장급 등 대한 후속인사는 현재 조직이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과 부장급 보직을 부여하는 후속인사가 뒤따랴한다는 입장이 맞서고 있다.
이와 관련 한 관계자는 “후속인사 문제를 논의하기 이전에 시험지 유출같은 불명예가 재발되지 않도록 철저한 시험시스템 개편이 우선돼 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