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협의 수산물 군납체계가 시급히 개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연근해 수산물수급이 매우 불안한 가운데 군납과정에서 수입산을 원양산으로 표시해 군납하다 적발된 데 따라 수입산과 원양산을 동일하게 인정하는 체계가 필요하다는 현실을 감안한 것이다.
현재 수협은 연간 800억원 규모로 군납사업을 하고 있으나 군납규정에 연근해산과 원양산으로만 구분 표시해 납품할 수 있게 돼있다.
그러나 수협측은 연근해산 물량 확보가 어려울 경우 우리나라 원양선사들이 잡은 물량을 원양산으로 구매해 납품하고 있지만 이 마저 물량부족으로 수입 수산물을 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또한 같은 해외어장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을 어획주체에 따라 원양산(우리 원양선사가 어획해 반입)과 수입산(외국어선이 어획해 판매)으로 똑같은 어종을 놓고 구분하는 것은 모순이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현재 군납시 표시체계가 원양산을 수입산으로 같이 표기할 수 있는 것으로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수협은 현재 이같은 내용의 개선체계를 해양수산부와는 조율을 끝낸 상태이고 국방부와 막판 협의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수협중앙회는 2002년 6월부터 올해 1월까지 47억원 상당의 인도산 갈치(수입산)를 원양산으로 위장해 군부대에 납품하다 부산지검에 적발됐다.
수협 관계자는 “수입산과 원양산이라는 애매한 기준속에 이번 사태가 불가피하게 발생했다”면서 “만약 이것이 해소되면 정상적인 납품이 가능하며 현재 국방부와 이 문제를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미 이같은 사태가 예견됐다면 군납체계 개선을 통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했어야 한다는 비판적 여론도 제기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