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찰제가 처음 도입된 연안어선 감척사업에 어업인들의 지원이 몰리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22일 발표한 `연안어선 감척사업 중간평가''에 따르면 지난 8월 1일~9월 20일 전국의 32개 기초자치단체 단위로 입찰을 진행한 결과 입찰대상척수 251척에 640명이 지원해 2.5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이중 낙찰자가 없어 재공고에 들어간 8개 지역을 제외한 24개 지역에서 당초목표척수인 220척보다 71% 초과한 377척이 낙찰됐다.
이같은 현상은 최근 유가인상에 따른 경영난이 가중된데다 자원남획으로 인한 어업생산량이 감소하는 등 어려운 어업현실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장현 해양수산부 차관보는 “연안어업인들의 고령화로 어업을 포기하려는 분위기가 팽배하고 면세유 중단 등으로 인한 어업 미래가 불투명한 것이 현실”이라며 “올해 수요를 감안해 내년에는 보다 많은 예산을 확보, 경영여건이 어려워 감척이 절실한 어업인들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할 수 있도록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그동안 감척사업은 전문연구용역기관에서 개별어선별로 경영수지를 분석해 지원금을 결정했으나 올해부터는 연안어선의 업종별, 톤급별로 표준기초금액을 정해두고 감척신청자들은 이 금액을 기준으로 가장 낮게 제시한 자부터 예산이 정해진 범위내에서 낙찰자를 결정하는 제도로 개선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