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환경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해 질 전망이다.

산림조합중앙회는 최근 산림자원과 환경생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오는 2010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산림자본조사를 실시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중앙회는 지난 2일 중앙회 산하에 산림자원조사본부를 신설하고 본부장을 비롯해 현재 5명의 전문 인력을 투입했다.
또 내달 중 지역조합에서 근무하고 있는 25명 정도의 임업기술지도원들을 조사본부 직원으로 편성, 3인 1조로 현장 근무시킨다는 계획이다.

산림조원조사본부는 이번 사업을 위해 산림청으로부터 올해 16억원을 지원받을 예정이며, 매년 조사장비 구입, 인건비 등에 따른 추가 예산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산림자원조사본부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1992년에 개최된 리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 이후 기후변화협(UNFCCC), 지속가능한 산림경영(SFM),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각종협약과 기구에서 산림환경정보를 포함한 국가산림통계 제출을 의무화하는 추세에 따른 데서 비롯됐다.

특히 이번사업은 지난 1972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4차에 걸쳐 실시된 전국산림자원조사사업이 임목 위주로 조사됨에 따라 산림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 추진케 됐다.

한편 미국·일본·캐나다 등 선진 임업국은 이미 산림환경통계 생산과 산림의 주기적 변화 파악이 가능한 조사체계로 전환하는 국가산림조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노대균 산림조사본부장은 “지난 4차에 걸친 전국산림자원조사와는 달리 이번사업은 조사주기가 5년으로 단축된 점, 조사항목이 32개 항목으로 늘어난 점, 고정표본점 재배치에 따른 현지 조사업무가 대폭 증가한 점 등으로 인해 사업비용이 많이 소요될 것"이라며 “사업비용과 전문인력 확보가 가장 힘든 점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또 “이번 사업으로 다목적 국가산림조사체계 및 온실가스 통계보고 및 검증체계 구축은 물론 국제수준의 산림환경지표 산출을 위한 기반도 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