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축산물 유통의 성패는 고급육에 승부를 걸어야 합니다. 개방화를 앞두고 양축농가들의 심리불안은 높아지고 최근 발생한 구제역여파로 수출중단등 유통시장이 새로운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축산물유통연구회 정규성회장은 국내 축산물이 수입개방화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양축농가들이 고급육과 비고급육 중 어느것을 생산할 것인가하는 확실한 색깔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전제하면서 앞으로 국내 유통업체들이 경쟁력을 가질수 있는 것은 고급육 유통만이 살아남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회장은 『축산물 전면개방을 목전에 둔 시점에서 유통업체들이 국내산과 수입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해 확실한 색깔을 가지고 품질로 소비자들에 다가가야 한다』고 충고했다.
축산물 중 수입육과 경쟁에서 뒤질 것으로 예상되는 한우시장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대책도 절실하지만 한우 고급육시장 정착이 되면 산지생산도 대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회장은 『축산물유통의 선진화는 빠른시간안에 중??遊丙甕?줄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지만 육류유통의 특성상 여타품목에 비해 그 속도는 늦어지겠지만 전자상거래,택배 시스템등으로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상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유통인들은 과거의 유통구조 방식에서 과감히 탈피해 유통동향 등 정보수집과 자기영역구축을 위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정회장은 강조하고 있다.
정회장은 『내년 축산물 완전개방은 국내 축산물유통에 있어 큰 변화를 없을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지만 양축농가를 비롯한 축산인들의 관심을 모우고 있는 것 같다』고 하면서 앞으로 축산물유통구조 발전을 위해 양축농가와 유통인,정부,학계가 하나로 뭉쳐야 할 것이라고 했다.양정권yang@aflnews.co.k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