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예결위의 추경예산안 심의에서 산림청과 국회 예산정책국??산불 진화용 대형헬기 도입 등을 둘러싼 공방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산림청은 올해 추경예산안에 초속 20~25m강풍에도 운항이 가능한 초대형 헬기, 무인감시카메라 등 산불진화 및 감시장비를 확보하기 위해 일반회계에 300억원을 추가경정예산안으로 편성했다. 초대형헬기에 대한 예산을 추가시킨 이유는 올해 동해안지역에서 발생한 산불 진화시 15m이상의 강풍으로 진화작업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이번에 편성한 추가경정예산안에는 초대형헬기구입비 187억300만원, 대형헬기구입 52억2000만원, 무인감시카메라시설 등 61억300만원 등 총 300억2600만원으로, 당초 산불방지예산보다 265억2300만원 늘어난 금액이다.
국회 예산정책국은 이에 대해 추가경정예산안에 편성한 265억2300만원은 동해안 지역 산불에 대한 대책비가 아니라 향후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예산이라고 밝혔다. 또 산불은 시기적으로 주로 3월과 4월에 주로 발생하므로 내년도 본예산안에 앞서 미리 추경예산안으로 편성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산림청은 산불이 3~4월에 주로 발생하는 것은 사실이나 그 이전에 산불진화장비와 예방시설을 미리 갖춰, 강풍에도 견딜 수 있는 초대형 헬기를 긴급히 구입해 동해안 산불과 같은 대형 산불을 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추경에 요구한 초대형 헬기는 주문후 구입까지 8개월정도가 소요되고, 무인감시장비도 설치기??5~6개월 정도가 소요되므로 이번 추경에 예산을 확보해야만 내년 3~4월 산불방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농수축산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